입냄새의 원인은 바로 구강세균!

[김현정의 입속 탐험]

입냄새의 의학용어는 ‘호흡’을 의미하는 ‘halitus’와 ‘병리학적 과정’인 ‘-osis’의 조합인 ‘halitosis’입니다. 구취는 진짜 구취, 가짜 구취, 및 구취공포증으로 분류됩니다. 대부분 구취 환자들은 자신의 입냄새를 알아채지 못합니다. 그럼에도 전 인구의 약 30%에서 입냄새가 납니다. 미국에서는 약 6500만 명의 구취환자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입냄새는 원인에 따라 구강내와 구강외 구취로 분류됩니다. 입냄새는 십중팔구 불량한 구강위생상태의 결과입니다. 입냄새의 주요 원인은 만성 치주염과 관련된 혐기성 구강세균들이 증식하는 중에 단백질을 분해하면서 생성하는 고약한 휘발성 황화합물(Volatile Sulfur Compounds, VSC)들 입니다. 특히 혀뿌리의 설태를 구성하는 ‘Fusobacterium nucleatum’과 연쇄상구균(Streptococcus)과 같은 세균들이 주로 관여합니다. 치주질환 발생과 유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균인 ‘Fusobacterium nucleatum’이 구취에도 관련되어 있는 것이 주목할 만합니다.

치과질환은 십중팔구 충치나 치주질환입니다. 충치의 주요 원인균은 호기성 세균인 ‘S. mutans’이며, 치주질환의 주요 원인균은 혐기성 세균인 ‘P. gingivalis’입니다. 두 질환의 주요 원인은 바이오필름인 플라그인데, 플라그의 주요 구성 성분이 바로 구강세균들입니다. 백세 장수시대에 노인들의 건강관리에 특히 중요한 것은 일상에서의 치주질환 예방관리입니다. 치주질환과 입냄새는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더구나 노인에서 흔한 입마름 상황에서는 원인이야 어쨌든 침분비가 감소해 칫솔질 후에도 혀뿌리에 남아있던 혐기성 구강세균이 증식합니다.

입 밖에서 발생하는 입냄새는 전체 구취의 10% 미만으로 미미합니다. 주로 만성 부비동염으로 인하여 코분비물이 목 뒤로 넘어가거나 편도결석 등 이비인후과 질환과 위장장애로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드물게 위중한 당뇨병(과일냄새), 간질환(생선냄새), 신장질환(암모니아냄새) 등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도 특유의 입냄새가 관찰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입마름의 주요 원인인 항우울제, 항정신병약, 진통제, 항히스타민제, 이뇨제, 항고혈압제, 근육이완제, 항파킨슨제, 항불안제, 항암제와 같은 약물과 질산염 및 아질산염과 같은 보존제도 대사되면서 입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입냄새는 자신감과 대인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에서 불편함을 키우는 원인이 됩니다. 입냄새로 인한 심리적 위축은 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하여 자기효능감이 줄어들고, 그 결과 직장이나 학교에서의 성과에도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지속되는 입냄새 때문에 발생하는 사회적 및 직업적 스트레스는 불안이나 우울증과 같은 정신건강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개인의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평소 입냄새로 고민하시는 분들은 원인을 찾는 노력을 하시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며, 물을 자주 마시길 권합니다.

<참고자료>

Memon, M. A., Memon, H. A., Muhammad, F. E., Fahad, S., Siddiqui, A., Lee, K. Y., Tahir, M. J., & Yousaf, Z.  Aetiology and associations of halitosis: A systematic review. Oral Diseases 2023;29:1432–8.

Kim H. J., Kim J. B. Reduction in malodor, gingival index and plaque index after 4-week use of new concept oral irrigat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022;46:92-98.  https://doi.org/10.11149/jkaoh.2022.46.2.92

닥터콘서트
    김현정 교수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