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전증 교수들도 파업 불참…의협에 “환자 겁주지 말라”

"치료 중단하면 사망 위험...의대생·전공의 빨리 돌아오라"

병원을 지키는 의료진의 모습 *이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습니다. [사진=뉴스1]
대학병원의 뇌전증(간질) 전문의들이 오는 18일 대한의사협회(의협) 집단 휴진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전했다. 분만병의원협회와 대한아동병원협회에 이은 세 번째 의협 집단행동 불참 선언이다.

뇌전증 전문 교수들로 구성된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는 14일 언론사에 보도자료를 보내 이 같이 밝혔다. 협의체 측은 “뇌전증은 치료 중단 시 신체 손상과 사망 위험이 수십 배 높아지는 뇌 질환으로, 약물 투여 중단은 절대로 해선 안된다”며 “협의체 차원에서 의협의 단체 휴진에 불참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어 “의협의 단체 휴진 발표로 많은 뇌전증 환자와 가족들이 혹시 처방전을 받지 못할까 불안과 두려움에 떨고 있다”며 “약물 난치성 뇌전증 환자들은 갑자기 약물을 중단하면 사망률이 일반인의 50~100배로 높아진다”고 했다.

그러면서 “뇌전증에 대한 지식이 없는 의사들은 처방하기 어려우며 일반 약국에서 대부분 (약물을) 구할 수도 없다”며 “항뇌전증약의 일정한 혈중 농도를 항상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단 한번 약을 먹지 않아도 심각한 경련이 발생해 환자의 생명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협의체는 의협 집단행동에 대해 ‘환자를 겁주는 행동’이라며 비판하기도 했다. 이들은 “환자들의 질병과 아픈 마음을 돌봐야 하는 의사들이 환자들을 겁주고 위기에 빠뜨리는 행동을 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며 “잘못이 없는 중증 환자들에게 피해와 고통을 주지 말고, 차라리 삭발하고 단식하면서 과거 민주화 투쟁과 같이 스스로를 희생하면서 정부에 대항하는 것이 맞다”고 했다.

끝으로 “전공의 사직 후 115일 동안 수많은 중증 환자들과 가족들이 극심한 고통과 피해를 보고 있다”며 “의대생과 전공의는 빨리 돌아오고 의사단체들은 과학적인 근거 수집과 분석으로 정부에 대항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먼저 아픈 환자들을 살리고 전 세계 정보 수집, 전문가 토론회 및 과학적 분석을 통해 2026년 의대 정원을 재조정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전 국민의 공분을 피할 수 없고, 나아가 전 세계 의료인과 주민들의 비난을 받게 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앞서 대한분만병의원협회는 최근 온라인 임원 회의를 열고 의협의 집단 휴진에 동참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 협회는 서신을 통해 “우리 역시 투쟁 현장에 즉각 달려가 동참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지만, 우리만의 특수한 상황으로 그러지 못하는 것도 현실”고 했다.

대한아동병원협회 역시 의협 집단 휴진에 불참 의사를 전했다. 최용재 대한아동병원협회장(의정부 튼튼어린이병원장)은 “의협의 휴진 투쟁에 공감하고는 있지만, 각자 처한 상황이 있다 보니 환자를 두고 떠나기는 어렵다”며 진료를 유지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했다.

다만, 최 회장의 불참 결정을 두고 의협의 공개적 비난이 이어졌다. 임현택 의협 회장은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최 회장의 인터뷰가 담긴 기사를 공유한 뒤 “전 세계 어디에도 없는 ‘폐렴끼’란 병을 만든 사람들이다. 멀쩡한 애를 입원시키면 인센티브를 주기도 하죠”라며 그를 저격했다.

임현택 의협 회장의 최용재 대한아동병원협회장 저격 글 [사진=임현택 SNS 캡쳐]
    임종언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1
    댓글 쓰기
    • id8*** 2024-06-14 16:51:01

      의전협 의사들의 지혜로움에 감사드립니다 정부의 정책보다는 생명을 살리는 연구에 힘흐신다면 부뫄 명예는 따리올것입니다

      답글0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