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장 안 했는데 손이 부들… ‘이것’ 해보면 안다! 수전증인가 아닌가

수전증이라 불리는 본태성 진전...회오리나 동그라미 그려보는 등 자가진단 가능 , 수면과 카페인 줄이기 등 도움

수전증이라고 불리는 ‘본태성 진전’ 손, 머리, 몸통, 목소리에서 규칙적 떨림을 호소하는 신경학적 병이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수전증이라고 불리는 ‘본태성 진전’은 손, 머리, 몸통, 목소리에서 규칙적 떨림을 호소하는 신경학적 병이다. 글씨를 쓸 때나 수저를 들 때 나타나며 특히 긴장되는 상황에서 증상이 심해져 일상·사회생활에 큰 지장을 주기도 해 적극적인 치료가 강조되고 있다.

다만, 이를 병이라 인식하지 못하고 ‘성격적 결함’으로 치부해 방치하는 경우도 많다. 유지연 강남나누리병원 뇌신경센터 부장은 “최근 내원한 한 20대 환자는 타인의 시선을 의식해 취업까지 포기했다”며 “환자들 대부분이 질환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자신의 소심한 성격탓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얼마든지 치료가 가능한 질환”이라고 설명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1년 ‘본태성 진전’ 환자는 6만5235명이고 전체 환자는 약 50만명 이상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신경이 약해지는 노인층에서 유병률이 높으나 10~30대 젊은 층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태성 진전의 원인은 현재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유력 가설에 따르면 소뇌 혹은 소뇌-척수 운동 신경로의 노화, 퇴행으로 인해 발생한다. 증상은 나이가 들수록 떨림이 커지는 경향이 있으며, 특정 행위를 할 때 더 많이 떨린다.

진단은 환자의 발병 이력을 우선 파악해야 한다. 이와 함께 다른 국소 부위에 떨림이 없는지 관찰하고 파킨슨병과 같은 운동질환, 윌슨병, 약물로 인한 2차성 떨림 증상이 아닌지 감별해야 한다.

나도 손 자꾸 떨리는데…본태성 진전 자가진단법 

자가 진단은 회오리 모양을 그려보게 하거나(이 질환자는 매끄러운 곡선을 그리지 못함) 손을 쭉 뻗었을 때 떨리는 지를 보고 파악할 수 있다. 수면, 카페인 섭취량 줄이기, 효과적인 스트레스 관리 등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

유 부장은 “생활습관 교정과 악화요인을 제거하는 방법만으로도 본태성 진전을 상당히 완화시킬 수 있다”며 “가장 좋은 방법은 부작용이 경미한 약물치료로 환자의 3분의2 정도는 떨림증을 개선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치료로 사용되는 가장 보편적 약물로는 ‘베타 수용체 차단제’가 있다. 다만 혈압을 떨어뜨리거나 심박수를 느리게 하는 부작용이 있어 노인이나 심장 질환자는 주의해야 한다. 긴장, 심리적으로 불안정할 때는 벤조다이아제핀(항불안제) 계통의 안정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약물치료로 효과가 없다면 ‘뇌심부 자극술’ ‘고집적 초음파 수술’ 등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뇌심부 자극술은 미세한 전극을 뇌에 삽입, 특정 부분에 전기 자극을 줘 떨림 증상을 완화하는 방식이다. 고집적 초음파 수술은 두개골 사이 한 곳에 초음파를 집중적으로 쏴, 이로 인해 발생한 열에너지로 병변를 응고하거나 파괴하는 치료법이다.

유 부장은 “본태성 진전은 환자의 증상이나 상황에 따라 경중 여부가 달라진다”며 “질환으로 사회생활이 위축되거나 일상에 불편함을 느낀다면, 뇌신경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임종언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