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8시간 간헐적 식단?”…심장 건강엔 최악

건강하게 장수하려면 '심장'에 집중해야...지중해식단 좋고, 8시간 시간 제한 식사 피해야

2022년 국내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는 심장 질환이다. 심장 건강을 지키려면 식습관과 생활 방식은 개선하는 게 중요하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2022년 국내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는 심장 질환이다. 전체 사망자 중 약 9%가 심장 질환으로 3만3715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한국인에게 심장 질환은 여전히 중대한 건강 문제로 남아있어 심장 건강을 챙기는 식습관과 생활 방식은 매우 중요하다. 미국 의학매체메디컬익스익스프레스가 소개한 심장건강 지키는 생활습관을 알아본다.

균형 잡힌 식단=미국 메이요 클리닉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심장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 식물성 식단을 권장한다. 심장 건강을 위해서는 100% 통곡물은 물론,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포함한 고섬유질 식품을 섭취가 중요하다. 트랜스 지방과 고콜레스테롤 식품을 제한하고, 포화 지방을 불포화 지방으로 대체해야 한다. 이는 동맥 경화와 심장 질환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적절한 운동= 아이오와 주립 대학의 연구팀에 따르면,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절반씩 병행하는 것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과체중 또는 비만 성인을 대상으로 12개월 간 조사한 결과, 일주일에 최소 150분의 중간 강도의 유산소 운동이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했다.

지중해 식단= 《미국심장협회(AHA)》에 따르면, 지중해 식단이 심장 건강을 지키기 위한 최고의 식단이라고 설명한다. 지중해 식단이란 과일, 채소, 통곡물, 견과류, 그리고 올리브유를 중심으로 한 식단이다. 하버드 공중보건대학의 연구에서도 지중해 식단을 따르는 사람들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현저히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중해 식단은 항염증 및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심혈관 건강을 촉진해서로 풀이된다.

매일 8시간 미만 걸쳐 식사 습관은 금물= 《미국심장협회(AHA)》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하루 8시간으로 식사를 제한하는 시간제한 식사는 심혈관 질환의 사망 위험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8년, 최대 17년동안 진행된 이 연구는 약 20,00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식사 시간을 12~16시간으로 유지하는 것이 심장에는 더 좋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8시간 식사 제한은 특히 심장 질환이나 암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 더 높은 사망 위험과도 관련이 있어 피하는 것이 좋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충분한 수면= 수면의 질과 양도 심장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사이언스 데일리에 따르면 하루 7~8시간의 양질의 수면을 취하는 것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낮추는 데 중요하다. 수면 부족은 고혈압, 비만, 당뇨병과 같은 위험 요소를 증가시켜 심장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희은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