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툼한 뱃살 어쩌나… 복부지방 빼주는 최고의 운동 4

유산소운동, 전신 근력운동과 함께 코어를 강화하는 운동에 집중하면, 복부지방을 감소하는데 효율적이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나날이 두꺼워지는 뱃살은 어떻게 해야 가장 효과적으로 뺄 수 있을까? 뱃살은 내장 비만은 물론 심장질환, 당뇨 등 건강상 이유로도 하루 빨리 줄여야 한다. 특히 복근을 집중적으로 강화하는 운동을 하면, 좀 더 지방이 효율적으로 소모되고 뱃살이 줄어드는 효과가 난다. 유산소운동, 전신 근력운동과 함께 코어를 강화하는 운동에 집중하면, 복부지방을 감소하는데 효율적이다. 두툼한 뱃살 빼주는 최고의 복부 운동 4가지를 알아본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 러시안 트위스트

복근과 함께 허리 코어근육을 강화시키는 효과로, 여자 복근운동으로 많이 추천한다. 특별한 도구가 필요없이 다리를 들어 엉덩이만 바닥에 닿은 채 몸통을 비틀어 허리와 복근에 자극을 준다.

 

윗몸 일으키기를 할 때처럼 무릎을 세우고 앉은 상태에서 상체를 뒤로 기울인 다음 몸통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운동이다. 가슴 높이에서 중량감이 있는 공을 들고 하면 운동 강도가 더욱 높아진다. 몸통을 돌릴 때는 코어의 힘으로 돌려야 하며, 팔의 반동으로 돌려서는 안 된다. 초보자는 익숙하지 않거나 밸런스가 무너져 균형잡기 어렵다면 다리를 바닥에 붙여서 할 수도 있다.

 

◆ 마운틴 클라이머

마운틴 클라이머는 이름 그대로 산을 오르는 동작을 닮았다. 엎드려 뻗친 자세에서 양 발을 가슴까지 번갈아 올렸다 내렸다 하는 운동으로 마치 산을 오르는 모습과 비슷하다. 그동안 쌓인 뱃살과 옆구리살을 빼주는 고강도 복근 운동이다.

 

다리를 고정하지 않고 움직이는 플랭크 동작이라고 보면 된다. 플랭크 자세를 취하듯 양손과 발끝을 바닥에 댄 엎드린 자세에서 양쪽 무릎을 번갈아 가며 가슴 쪽으로 끌어올리는 동작이다. 이 동작을 취하는 동안 코어에 힘이 잘 들어가는지 체크해야 한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 경사진 곳 뛰기

러닝 머신에서 평지 달리기를 할 때보다 경사진 곳에서 뛰면 칼로리 소모량이 훨씬 크고 복부 비만까지 해결할 수 있다. 러닝 머신이 없다면 언덕이나 경사진 곳을 오르는 운동을 해도 좋다. 자신의 체력을 고려해 10분 정도 빠르게 걷거나 뛴 다음, 10분간 좀 더 천천히 걷기를 반복하면 된다. 뛸 때는 옆 사람과 대화가 불가능할 정도로만 숨이 차는 수준을 유지하면 된다. 총 30~40분 정도 이 같은 운동을 반복한다.

 

◆ 빠르게 걷기 운동하기

체력이 많이 부족한 사람은 간단하게 걷는 운동을 먼저 시작한다. 단, 산책하듯 천천히 걸어서는 안 되고, 40~60분 정도 활기차게 걷는다는 느낌을 유지해야 신진대사를 높이고 복부지방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걷기 운동을 통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수치를 떨어뜨려 뱃살을 유도하는 불필요한 간식 섭취를 줄일 수도 있다. 매일 한 시간씩 걷기 운동만 잘 지켜도 일주일에 체지방 0.5kg 감량 효과를 낼 수 있다.

 

    김수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2
    댓글 쓰기
    • syo*** 2024-06-04 09:01:21

      그거다하고 매일안한다는게 문제다 세가지인데 뭔 한가지가 모르겟네 첯째 러시안트위스트 중량들어비틀기전엔 감도없음 둘째마운틴클라이머 리자드워킹으로 업글 업드린자세에서 좌우교차로 한다리씩 길게늘어트리며 반대쪽다리는 위로다른쪽다리는 옆으로 찍고그다음 아래로올리면서 팔은너무벌리지않으며 기어가는데 마지막동작 한다리씩위로 꽈올리듯이 흔들어 꼬리를묘사한다 그리고 인클라인경사 되는머신있는 헬스장으로 바꿔서 경사 40·도 정도맛추고 1분뛰다 15km2분 7km4분 번갈아서 뜀 땀나는게 않좋고효율떨어진다는데 난기분좋다 씻으면 잠잘오거던

      답글0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 yur*** 2024-06-04 06:36:00

      사진이나 동영상이 없어 어떤자세인지 모르겠네요~

      답글0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