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99% 휴학·수업거부… 70% “필수의료 전공 안할 것”

의대협 "韓 의료 시스템 붕괴 가속"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 중이다. [사진=뉴스1]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해 의대생 99%가 휴학계를 제출하거나 수업을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수 의료를 희망하는 학생 비율도 큰 폭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의료계는 ‘원점 재논의’를 통해 현 상황을 해결할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20일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은 전국 40개 의대 혹은 의학전문대학원(의전원) 재학생을 대상으로 5월 셋째 주(지난 13~17일) 동안 휴학계 제출 및 수업 거부 현황⋅인식조사를 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는 의대⋅의전원생 1만8348명 중 약 80%인 1만4676명이 답했다.

결과를 보면, 지난 13일 기준 휴학에 준하는 행동(휴학계 제출 또는 수업 거부)을 하고 있냐는 질문에 98.73%(1만4490명)이 그렇다고 답했다. 또 이와 유사한 비율(98.81%)로 의대 정원 증원 정책에 대한 본인의 입장으로 ‘전면백지화 이후 원점 재논의’를 꼽았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제시한 자율 정원 증원 수용 1506명에 대해선 1.18% 찬성에 그쳤다.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으로 의대생 99%가 휴학계를 제출하고 수업을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 대해서 절대 다수가 부정적 입장인 것으로 드러났다. 응답자 99.6%가 이 정책에 ‘반대한다’고 답했으며 그 이유(중복 선택)로는 △필수의료정책 패키지의 ‘원인파악'(의료시스템의 복잡성과 유기성을 고려하지 않음) 83.2%(1만2217명) △필수의료정책 패키지의 ‘기대효과'(문제 해결에 필요한 방향을 빗나갔거나 기대 효과를 과장) 76.1%(1만1179명) △필수의료정책 패키지의 ‘전제'(사회·논리적 전제 조건에 문제가 있거나 부적절한 조건을 전제로 제시) 59.8%(8787명) 등을 선택했다.

아울러 의대⋅의전원생들의 미래 진로와 관련한 인식도 변화한 것으로 조사됐다.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및 의대 2000명 증원 정책 발표 전 필수의료(△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심장혈관·흉부외과) 과목에 지원 의사가 있었냐는 물음에 약 70%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반대로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및 의대 2000명 증원 정책이 시행될 시 나는 필수의료 과목 지원 의사가 있냐는 질문에 약 73%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이에 따라 전공의 수련 자체에 거부감을 갖는 학생 비율도 증가했다. ‘정부 정책 발표 전, 전공의 수련이 필수라고 여겼다’는 질문에 약 88%가 ‘그렇다’고 답했지만, 발표 이후 수련 필수 여부를 묻는 질문에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은 약 25%로 3.5배 가량 대폭 감소했다.

이에 의대협 측은 “본 설문 조사를 통해 학생들은 의대 정원뿐만 아니라, 윤석열 정부의 전반적인 의료 정책을 담은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또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며 “학생들은 해당 정책이 한국 의료 시스템의 붕괴를 가속화하고 향후 진로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이어 “중증 의료 전공을 매우 희망하는 33.15%의 학생들이 정책 발표 후 2.12%로 전무해졌다. 국내 중증 의료가 회복 불가한 타격을 입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의료시스템 위기에 현실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며 진정성 있는 논의가 원점에서부터 이뤄져야 함을 제정한다”고 덧붙였다.

닥터콘서트
    임종언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2
    댓글 쓰기
    • jin*** 2024-05-21 00:12:53

      국민들이 너희들을 싫어한다는건 알아?

      답글0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 jin*** 2024-05-21 00:09:33

      필수의료같은건 관심없었다는걸 국민들이이제 알아 ᆢ 존경받을 이유가 없다는것도ᆢ이제 알아 ᆢ이제 그냥 의사는 공돌이라는것도 알인 ᆢ

      답글0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