쉰 목소리 2주 돼도 안 나으면?... 성대에 병 생겼을 수도
성대결절 등 음성질환 여부 병원에서 진단 받아야
목이 쉰 상태가 좀처럼 낫지 않고 2주 이상 지속될 때가 있다. 이럴 때는 병원을 찾아 성대 상태를 제대로 진단 받는 것이 좋다. 성대에 결절이나 용종(폴립)이 생기는 음성질환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음성질환은 주로 가수, 교사 등 목을 많이 쓰는 직업군에서 흔히 나타난다.
지속해서 고음 내려 힘 주면 성대결절 발생 가능성↑
성대는 밖으로 드러나 있지 않기 때문에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힘들다. 때문에 음성질환을 자세히 진단할 때는 입 또는 코를 통해 후두 내시경을 이용한다. 성대결절을 더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 성대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볼 수 있는 스트로보스코프(Stroboscope) 같은 장치를 사용한다.
성대결절은 성대에 ‘굳은살’이 생기는 것이다. 지속해서 고음을 내기 위해 목에 과다한 힘을 주면 많이 생긴다. 성대의 굳은살을 없애기 위해서는 몇일 간의 음성휴식이 필요하다. 제대로 휴식을 취하지 못하면 쉰 목소리가 점점 심해지게 된다.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많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성대결절(질병코드 J382, 성대의 소결절) 성별별 환자수는 최근 5개년(2018년~2022년) 동안 평균적으로 남성보다 여성 환자수가 80% 이상 많다.
빈번하지 않아도 목 잘못 사용 시 성대폴립 발생
성대폴립은 잘못된 발성으로 생긴 ‘용종(혹)’이다. 지나치게 소리를 지를 때 성대의 작은 혈관이나 조직이 손상되어 물혹이 생기고 성대결절과 같이 쉰 목소리가 나오게 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보면, 성대폴립(질병코드 J381, 성대 및 후두의 폴립)은 남성과 여성 환자수에 큰 차이가 없고, 전체 환자수도 성대결절 환자수보다 적다. 김수일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성대폴립은 목을 자주 사용하지 않더라도 소리를 크게 지르거나 지속적인 기침 후에 성대가 자극을 받아서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라고 설명한다. 반면, 성대결절은 지속적으로 목을 사용하면 발생하기 쉬운 질환이다.
성대결절이 생기면 쉰 목소리 외에도 고음에서 분열되거나 부드럽지 못한 소리가 나오는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으며, 성대폴립은 쉰 목소리와 후두 부위 이물감으로 인한 잦은 기침 혹은 호흡 불편 등이 생길 수 있다.
목을 혹사하면 음성질환이 빈번하게 생긴다. 자주 목이 쉰다면 발성습관을 점검해 볼 필요도 있다. 발성법이 잘못됐다면, 언어치료사를 통해 발성습관을 교정하는 음성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 헛기침 하는 습관, 큰소리나 비명을 지르는 것, 극단적인 고음이나 저음을 내는 등의 습관 등도 성대에 무리를 줄 수 있다.
습관 교정이나 휴식에도 불구하고 음성질환이 낫지 않는다면, 수술을 통해 증상을 낫게 할 수도 있다. 수술 시간은 대부분 30분 이내로 짧지만, 이후 관리도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