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교수도 '자발적 사직'?...의대생 대량 유급 전 배수진

전국의대교수협의회 긴급총회...14일, 21일이 마지노선

해당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는 자료사진입니다. 전국의대교수협의회가 지난 9일 진행한 비상총회에서 자발적 사직 등의 대응 방안이 제기됐다.[사진=뉴스1]
전국 의대 교수들도 '자발적 사직' 가능성을 제기했다. 의대 증원 정책이 강대강 의정갈등으로 번지면서 집단 사직한 전공의의 면허정지 처벌과 동맹휴학 의대생의 대규모 유급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아진 데 따른 것이다.

전국의대교수협의회가 지난 9일 진행한 비상총회에서 자발적 사직 등의 대응 방안이 제기됐다. 해당 협의회엔 전국 33개 의대가 참여 중이며, 비상총회는 이날 오후 약 3시간가량 비공개로 진행했다. 또한, 해당 회의에 대한의사협회 김택우 비상대책위원장과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회장도 참석해 의견을 공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협의회는 이날 크게 △의대생들 휴학에 따른 유급 문제 △대학별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는 교수 사직 문제 등 두 가지 사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앞서 의대 교수들의 집단사직 우려가 높아지긴 했으나, 이날 총회에서 이를 결의하진 않았다. 개별 교수의 사직 문제는 '개인적인 의지'로 보고 협의회 차원의 공식 방침은 결정하지 않은 것이다.

다만, 향후 사직 의사가 교수들의 현황은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조만간 전공의의 면허정지 처벌과 의대생의 대규모 유급이 현실화한다면 의대 교수들의 '자발적 사직'까진 막을 수 없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협의회의 김창수 비상대책위원장(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과)은 "교수들이 집단사직은 하지 않겠지만 자발적 사직은 막을 수 없을 것"이라면서 "이를 교수협의회에서' (사직)하라, 하지말라'고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학생들이 휴학을 하게 되면 등록금 반환 문제가 걸려 있어 (3월) 14일이나 21일을 마지노선으로 생각하고 있다"면서 "학생도 전공의도 없는 병원에 있을 이유가 없다는 것"고 덧붙였다.

김 비대위원장은 "지금까지 의대 교수들이 사직한 경우는 거의 없었고 환자 곁을 지켰다"면서 "그런데 지금은 과거와 같은 상황이 아니라는 데 대부분의 교수들이 공감했다"고 비상총회의 분위기를 전했다.

특히, 협의회는 정부와 대학 본부에 대한 비판도 이어갔다. 정부에 대해선 강경 방침을 고수해 전공의 및 의료계와의 대화 가능성을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각 대학본부엔 의대 교육 능력의 4~5배까지 증원을 일방적으로 신청한 데에 목소리를 높였다.

교육부는 지난 8일을 기준으로 전국 40개 의대에서 1만4081건의 휴학 신청이 접수된 것으로 집계했다. 이는 전체 의대생의 74.9% 수준이다. 이 중 학칙상 요건을 갖춘 휴학신청은 5435건으로 전체 의대생의 28.9%에 달한다. 이들 의대생에 대해 향후 학교 측이 휴학 처리를 하지 않으면 등록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유급 처리된다.

개별 의대서도 반발 성명 이어져...10일엔 '의료붕괴 경고 시국선언' 

한편, 협의회 비상총회를 전후로 각 의대별 소속 교수들의 성명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 5일 강원대 의대 교수들은 성명문을 발표하고 일부가 삭발 시위를 진행했다. 이후 8일 경북대 의대 학장단과 가톨릭대 의과대학 학장단 등이 입장문을 발표하며 일괄 사직서 제출 방침을 결정했다.

이튿날인 9일에는 울산대 의대 교수들도 긴급총회를 열고 겸직 해제 등의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울산대 의대 교수협의회엔 서울아산·울산대·강릉아산병원 등 3개 수련병원 교수 254명이 소속했으며, 겸직해제할 경우 이들 병원에서의 진료 업무를 떠나게 된다.

10일에는 '의료 붕괴를 경고하는 시국선언'이 공개됐다. 서울아산병원과 세브란스병원 등 8개 병원 교수와 전문의 16명이 소속과 실명을 밝히고 온라인 사이트를 개설했다. 해당 사이트는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의료계의 연대 서명을 요청 중이다.

시국선언문은 "현재 정부의 일방적인 의료 정책 추진은 대한민국의 우수한 의료체계를 혼란이 빠뜨리고 있으며 이 사태가 종식되지 않을 경우 전 국민의 생명과 건강이 심각하게 위협받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모든 이해관계자는 이성을 되찾고 정부와 의료계 대표는 함께 허심탄회하게 합리적 방안을 논의해 해법을 도출할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정부에 대해 △전공의들을 향한 위압적 발언과 위협 중단 △필수의료 현장 목소리를 경청하고 관련 정책 수립 △의대 정원을 포함한 관련 정책에 대해 열린 자세로 논의할 것 등을 요구했다.

    최지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1
    댓글 쓰기
    • dal*** 2024-03-10 17:10:43

      교수들 사표 수리되지 않는 상태 수업거부할시 파면 시키세요. 연금없이 퇴출 시키세 요. 사표 수리된다 해도 65세 되어야 연금 대상 결국 제자와 함께 의사까은 입고 다른 병원에 근무 많이 쪽발리겠지요

      답글0
      공감/비공감 공감1 비공감0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