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 살, 다 키로 간다고?...다 '병'됩니다! 소아비만 비상
온 가족이 함께 나서 도와야...계단오르기, 걷기 등 일상 속 습관 중요
"나중에 크면 살이 다 키로 갈 거야"
이 말은 통통한 아이들에게 덕담처럼 하는 말이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상식이다. 전문가는 "안일한 생각으로 방치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치료와 개선에 힘쓰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대한비만학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은 남아는 2012년 10.4%에서 2021년 25.9%, 여아는 같은 비교 8.8%에서 12.3%로 각각 2.5배, 1.4배 증가했다. 소아비만은 성인비만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아 추후 여러 합병증 유발할 수 있다.
소아비만 이어지면...성조숙증, 성장판 조기 닫힘 등 유발
소아비만은 성호르몬 분비를 촉진해 성조숙증의 원인이 된다. 또 키 성장 부진에도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체지방률이 높아지면 여성호르몬 분비가 높아진다. 초기 키가 잘 자라는 것처럼 보이지만, 성숙이 빨라지는 만큼 성장판이 빨리 닫힌다.
결국, 성장호르몬 불균형으로 키가 자랄 수 있는 기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키 성장에 큰 영향을 준다.
대전을지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주영 교수는 "소아비만은 체내 호르몬을 교란해 성조숙증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며 "과도한 체지방이 성호르몬 분비를 촉진해 성조숙증에 걸리면 성장판이 조기에 닫혀 키 성장이 크게 둔화해 관리와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성인비만 진단과 마찬가지로 소아비만을 진단할 때도 '체질량지수(BMI)'를 사용한다. 체질량지수란 검사자의 몸무게(kg)를 키의 제곱(m²)으로 나눈 값이다.
만 2세 이상 소아청소년 비만을 진단할 때는 연령별, 성별 체질량지수 백분위수를 사용한다. 성별, 나이를 기준으로 백분위수가 85~94.9라면 과체중, 95 백분위수 이상은 비만에 해당한다.
소아청소년기에 비만이라면 성인이 된 후에도 비만일 확률 80%에 이른다. 이에 따라 △당뇨병 △고지혈증 △지방간 △뇌심혈관 질환 △관절질환 같은 만성질환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김주영 교수는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소아비만 기준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소아비만 치료를 통해 원활한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도보다는 '꾸준함'이 중요...가족 모두가 나서서 도와야
소아비만 운동은 얼마나 격렬하게 하느냐보다 꾸준히 하느냐가 더 중요하다. 아이가 즐겁게 할 수 있는 운동을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소아비만뿐만 아니라 성장발달에도 좋은 운동은 △줄넘기 △자전거 타기 △수영 △달리기 등을 꼽을 수 있다.
고도비만 아이들은 무릎이나 발목 관절에 무리가 가서 관절염이나 골절이 생길 수 있다. △계단 오르기 △자전거 △수영 △걷기 등을 하루 30분씩 매일 하는 것을 권장한다.
중요한 점은 아이에게만 인내를 강요할 것이 아니라, 가족이 아이에게 맞춰 생활해야 한다는 것이다. 소아비만은 △패스트푸드 △과식 △야식 또는 외식을 자주 하는 등 가족 식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구성원들이 함께 생활 습관을 바꾸지 않으면 아이는 쉽게 치료되지 않는다.
음식은 일정 시간에 식탁 등 정해진 장소에서만 먹고, TV를 시청하거나 핸드폰을 보면서 먹지 말아야 한다. 물론 아이에게 금지한 행동을 가족이 한다거나, 아이에게 먹지 못하게 한 음식을 가족이 먹는 모습도 보이지 않도록 한다.
가까운 거리 걸어 다니기, 계단 이용하기 등을 생활 속에서 가족이 함께 실천한다면 자연스럽게 습관이 형성될 수 있다. 또 하루 종일 먹은 음식의 종류와 양, 시간, 감정상태 등을 쓴 일기나 실시한 운동량을 기록한 운동 일기를 쓰는 것도 도움 된다.
소아비만인 아이에게는 심리적 안정감도 중요하다. 김 교수는 "아이가 또래 친구에게 열등감이나 소외감을 느끼진 않는지 세심하게 살필 필요가 있다"며 "부모가 아이에게 체중 관리에 대한 동기를 지속해서 부여해 주고, 아이가 자존감을 갖고 임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