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찌면 어쩌지?" 체중에 집착하는 식습관...심장까지 망친다

거식증으로 인한 영양실조, 폭식증에 따른 약물 복용 등 심장 손상 일으켜

심장
음식 섭취가 어려운 섭식 장애를 앓으면 심장 손상으로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아진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섭식 장애가 심장 질환에 걸릴 위험을 높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미국 심장협회(AHA)'는 섭식 장애 입원 환자의 경우 일반 사람에 비해 사망 확률이 5~7배 정도 높고 미국에서 52분마다 한 명씩 섭식 장애로 인한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면서 심장 질환 유발이 중요한 원인 중 하나라고 소개했다. 지난해 《섭식장애 저널(Journal of Eating Disorders)》에 발표된 리뷰 논문에 따르면 거식증 환자가 모든 정신과 질환 중 사망 위험이 두 번째로 높았다.

몸매 집착 섭식 장애, 심장까지 손상

일반적으로 섭식 장애에는 크게 거식증과 폭식증이 있다. 두 질환 모두 체중에 대한 집착, 왜곡된 신체 이미지 인식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거식증 환자는 체중이 늘 수 있다는 두려움에 음식을 피하거나 심각하게 제한된 식사를 하고 과도한 운동을 하는 경향이 있다. 폭식증 환자는 자제력을 잃고 음식을 마구 섭취한 후 일부러 구토를 하거나 설사약이나 이뇨제를 복용해 체중을 줄이는 행위를 반복한다. 섭식 장애는 음식 섭취와 관련이 있는 만큼 영양소 부족 등으로 인해 신체 이상을 초래하고 건강까지 크게 나빠질 수 있다.

섭식 장애는 심장까지 손상시켜 심혈관 질환에 걸릴 위험을 크게 높인다. 미국 덴버에 위치한 섭식장애 및 중증 영양실조 센터의 설립자인 필립 묄러 박사는 "심장은 급격한 체중 감소, 영양 실조 등으로 인해 큰 타격을 받을 수 있고 타격이 클 수록 심장 관련 합병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라고 소개했다. 섭식 장애는 심박수 저하에서부터 심부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심혈관 문제를 일으킨다

영양실조, 전해질 불균형 등 문제

거식증의 경우 영양이 부족하고 체중이 줄어 심장 근육이 수축하고 심박수가 느려지거나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을 초래할 수 있다. 음식 섭취를 제한하면 신체가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신진대사 속도를 늦추고 이에 따라 심장이 위축되고 심장 박동 속도가 느려지거나 불규칙한 흐름을 보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폭식증 환자는 과도한 구토와 관련 약물 사용이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해 불규칙한 심장 박동을 유발하고 울혈성 심부전, 심장 돌연사까지 초래할 수 있다. 폭식증 환자 중 일부가 구토 유도를 위해 이페칵(ipecac)시럽을 복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독성물질을 먹었을 때 응급으로 사용하는 구토제로 전문가에 따르면 심장에 무리를 주는 독성이 있을 수 있어 위험하다.

어지럽고 숨 가쁘면 병원 찾아야 

섭식 장애가 있으면 서 있을 때 심장으로 돌아가는 혈액이 감소해 발생하는 기립성 자세 빈맥 증후군(POTS)에 시달리는 경우도 있다. 빠른 심장박동, 어지러움, 가슴 두근거림 등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이 외에 흉통, 숨 가쁨, 잦은 코피, 기력 부족 등 증상이 있으면 이 역시 섭식 장애에 따른 심장 손상이 있을 수 있다는 신호로 병원을 찾아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섭식장애로 인해 심혈관 질환이 발생했다면 심장 치료 뿐 아니라 섭식 장애 치료를 동시에 진행해야 한다. 심장 문제를 해결하더라도 섭식 장애가 다시 심혈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 섭식 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들을 비난하거나 몸매에 대한 집착을 자극할 수 있는 발언이나 태도는 삼가는 것이 좋다. 섭식 장애는 유전적인 영향도 있어 스스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일 수 있기 때문이다.

주변의 관심도 중요하다. 혹 자녀 등 가족 중에 강박적으로 운동을 하거나 식사 중에 갑자기 화장실을 가는 일이 잦은 사람은 없는지, 혹은 헐렁한 옷을 입어 초췌해진 모습을 감추려 하지는 않는지 유심히 관찰해 조기에 증상을 잡아내는 게 치료에 큰 도움이 된다. 가벼운 섭식 장애라면 간단한 상담으로도 치료가 가능하지만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증상이 심각한 경우 전문 병원을 찾아 입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

    김근정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