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활동 많은 업무가 운동 된다고?...오히려 건강 해친다, 왜?
고강도 노동자 건강악화로 결근 더 많아...심장병, 정신질환 노출도 ↑
신체 활동이 늘면 운동 효과가 커 건강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직업적인 신체활동은 오히려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여가 시간의 운동은 심혈관질환·당뇨병·암 예방 등 효과가 있는 데 비해 직업적 신체활동은 심장병이나 당뇨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신체활동의 역설'인 셈이다.
지금까지 한국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는 없던 가운데 최근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강모열 교수팀이 한국 직장인 5501명을 대상으로 추적조사를 진행해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 표본에는 △사무직 △생산직 △서비스직 등 노동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은 직장인이 모두 포함됐다.
조사 결과, 여가 시간의 신체활동은 근로능력은 높이고, 건강과 관련된 노동생산성 손실을 적게했다. 반면 직업적인 신체활동은 근로능력을 낮추고 건강관련 노동생산성 손실을 크게 했다.
'건강관련 노동생산성 손실'은 건강 상태가 좋지 못해 결근을 하거나 출근은 했지만 육체·정신적 컨디션이 좋지 못해 업무효율성을 떨어지는 상황을 말한다. 즉 고된 노동은 향후 노동 생산성도 갉아 먹는다는 의미다. .
강모열 교수는 "운동과 같은 여가시간의 신체활동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근로능력과 노동생산성을 높일 수 있었다"며 그러나 "직장에서의 과도한 신체부담은 오히려 그 반대로 건강을 악화해 결국 근로능력과 노동생산성을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연구 참여자의 모든 직업군에서 동일한 양상이 발견된 것은 아니다. 강 교수는 "생산직과 같이 일의 강도가 높은 작업군에서 (이같은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며 "힘든 일을 하는 분들이 병결이나 출근 후 무기력을 호소하는 등 건강악화 현상이 두드러졌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직업적으로 신체 활동이 많으면 그만큼 운동량이 많아져 건강할 것이란 생각을 할 수 있다"며 그러나 "이는 잘못된 상식이다. 오히려 신체 능력과 건강이 나빠지고, 심혈관질환, 정신질환 등 질병에 대한 노출 정도가 더 높다"고 덧붙였다.
여가시간에 하는 운동, 직업적 신체 활동 뭐가 다를까?
같은 신체 활동이라도 신체 부담이 다르고 비자발적 운동이라는 점이 이같은 차이를 만들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강 교수는 "직업 환경에서 하는 신체 활동은 유산소 운동이 아닌, 전신 근육에 무리를 주는 활동일 가능성이 높다"며 "여가시간 운동은 휴식을 병행해 조절할 수 있지만, 근무는 강제성이 있어 쉴 때 쉬지 못해 전신에 염증 반응과 스트레스 수준을 높여 온갖 병에 노출된다"고 말했다.
한편, 60세 이상 직업적인 신체 활동을 많이 하는 근로자는 여가시간의 운동도 건강에 무리를 주고 노동생산성도 떨어뜨릴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고강도 노동을 하면서 여가시간 운동도 함께하는 경우 두드러지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