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前질병청장 "팬데믹 발생 위험 언제든 있어"
"위기 대응에 가장 중요한 건 인력"
초대 질병관리청장을 지낸 정은경 서울대 의대 가정의학과 교수가 "신종 감염병 위기(팬데믹)가 발생할 위험은 언제나 존재한다"면서 이에 대비할 시나리오별 의료 대응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4일 정은경 교수는 질병청과 주아세안대한민국대표부가 공동 개최한 한·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감염병 국제 콘퍼런스에서 '미래 팬데믹 예방 및 대응을 위한 감염병 대응체계 강화'를 주제로 강연했다.
정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발생한 팬데믹 위험 요소로 인수공통감염병, 항균제 내성, 생물테러 등을 꼽았다. 이어 그는 "(코로나19를 통해) 감염병 위기는 보건뿐 아니라 사회 모든 영역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교훈을 얻었다"면서 "잠재적인 대유행 병원체를 파악하고 시나리오별 대유행 대비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 감시 시스템을 강화하고, 범정부·범사회적 체계를 구축해 다음 팬데믹에 대응해야 한다"면서 "감염병 위기 대응의 핵심은 숙련된 인력"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의료, 공중보건, 연구, 돌봄 등의 측면에서 필수 인력을 확보하고 교육 훈련을 강화할 것을 제안했다.
특히 정 교수는 의료자원을 감염병 대응에 집중하는 팬데믹 상황에서 발생하는 초과 사망을 줄이는 방향으로 향후 의료 대응체계를 개선한다고도 강조했다.
정 교수는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초과 사망을 줄이려면 의료체계가 중요하다"면서 "의료대응 컨트롤타워와 전달 체계, 정보시스템, 인력 등 전반적인 의료 대응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초과 사망이란 바이러스 유행, 공해 등과 같이 특이 요인이 작용하며 통상적인(과거 3년간) 사망 건수보다 더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정춘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2021년 35째주~2023년 5째주) 동안 발생한 국내 초과 사망자 수는 6만 5240명에 달했다.
누적 초과사망률 역시 6.8%로, 일본(2.96%)과 프랑스(5.51%), 독일(6.06%)보다 높았다. 특히 감염취약층일수록 초과사망 피해가 심각했다. 60세 이상 고령층에선 3만 3409명이 초과 사망했고, 요양병원과 요양원에선 각각 8429명과 625명이 사망했다. 이는 질병청이 통계청 자료를 인용해 이달 국감에 제출한 자료다.
이날 콘퍼런스에선 길버트 버넘 존스 홉킨스 공중보건대 교수(글로벌 팬데믹 예방 및 대응을 위한 전략)과 이종구 국립암센터 이사장(미래 팬데믹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익 잉 테오 싱가포르 소스위호크(Saw Swee Hock) 보건대학교 교수(질병 감시에 대한 과학적 기반)도 각각 기조강연자로 나섰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한국과 아세안 회원국의 감염병 위기 공동 대응을 위한 관계를 활성화하고, 미래 감염병 대유행에 대비해 국제 보건의료 협력 체계가 더 공고히 구축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