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심코 넘긴 '배 앓이'... '큰 병' 되는 경우는?
궤양성대장염·크론병이 대표적
최근 20·30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궤양성대장염', '크론병'과 같은 염증성 장질환 발병이 늘고 있다. 이는 장관 내 비정상적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복통 △설사 △혈변 △체중 감소 등 증상이 지속해서 나타난다면 의심해 볼 만하다.
궤양성대장염은 직장(대장의 끝 부분)과 결장(대장의 전반적 부분)으로 이어지는 대장 점막에 넓게 퍼져 나타나는 염증이 특징이다. 점액이 섞인 혈변과 적게는 수 회, 많게는 수십 회 설사를 동반하며 심할 경우 발열을 동반한다.
크론병은 입부터 항문까지 소화관 전체에 걸쳐 깊은 조직 함몰을 동반한 염증이 산발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주로 복통과 체중 감소의 증상을 보이며 △전신 쇠약 △식욕부진 △구토 같은 전신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고려대 안산병원 소화기내과 김동우 교수는 "염증성장질환은 과민성 장증후군, 감염성 장염, 치질 등으로 오해하기 쉬워 진단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많다"며 "방치할 경우 장폐색, 장천공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복통, 설사, 혈변 등이 수개월 지속될 경우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계는 염증성장질환의 발병 원인을 △유전 △환경 △면역체계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중 크론병은 흡연과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또 서구화된 식습관과 지나치게 깨끗해진 위생환경 등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지적된다.
염증성장질환의 진단은 한 가지 검사로는 어렵다. 증상과 더불어 병력 과정, 혈액검사, 복부 엑스선, CT 및 내시경 등을 통해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아울러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만성질환이기에 완치보단 증상 조절과 합병증 예방,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항염증제 △면역조절제 △스테로이드제제 등을 통한 약물치료가 주이며 △장 협착 △천공(조직에 구멍) △농양(고름) 등 합병증이 발생하면 수술 치료도 고려한다.
김 교수는 "염증성장질환은 증상을 완화하고 염증 수치가 정상이 되는 것을 목표로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며 "최근 새로운 약제가 많이 개발돼 약을 처방대로 투여하고 식이요법, 운동 등을 잘 실천하면 수술 한 번 받지 않고도 무리 없이 일상생활을 하는 사례들도 많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