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시험 종사자 96% “분산형 임상시험 도입해야”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분산형 임상시험 활성화 위한 설문조사 결과 공개
임상시험 관련분야 종사자 대부분은 분산형 임상시험 도입의 필요성을 절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임상시험 분야도 비대면 의료시대에 맞춰 변화하고 있다. 분산형 임상시험(Decentralized Clinical Trials, 이하 DCT)이 대표적이다. DCT는 임상시험의 일부 절차를 연구자가 있는 장소가 아닌 다른 곳에서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DCT가 임상 시험 현장에 본격 활용되면 환자의 의료기관 방문을 최소화해 보다 편하게 느끼는 공간에서 연속적인 데이터 확보가 가능하다. 비용 절약 효과도 있다.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이 6일 발표한 ‘DCT 활성화를 위한 기술적·제도적 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96.2%가 분산형 임상시험 도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번 설문은 총 18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64명이 응답했고, 국내외 제약사 등 산업계, 병원, 학계 및 유관기관 소속의 종사자들이 응답했다.
DCT의 도입을 위해선 △온라인 스크리닝 △온라인 환자모집 △전자서명 △비대면 진료 △모바일 홈 방문 서비스 △시험약 배송 및 방문 수거 △원격데이터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 △환자 자가보고 등 다양한 제반기술이 갖춰져야 한다. 해당 요소들의 우선순위는 응답자의 직군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계 응답자는 비대면 진료(22.7%), 원격 데이터 모니터링(20.2%), 전자서명(17.6%) 순으로 우선순위를 응답한 반면 병원 관계자는 비대면 진료(22.1%), 온라인 환자모집(17.3%), 원격 데이터 모니터링(14.4%) 순이었다.
다만 응답자들은 DCT의 본격 도입에 앞서 규제기관, 연구자, 참여자 등 이해관계자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봤다. DCT 도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규제환경 및 규제기관의 변화’와 ‘임상시험 연구진의 빠른 적응 및 준비’가 꼽힌 것.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박인석 이사장은 “이번 설문조사 결과로 확인한 산업 및 의료계의 요구에 귀 기울여 다국가 임상시험 활성화를 위한 한국형 DCT의 확산의 교두보 역할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