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증이 유전자 변화시켜 우울증 부른다”    

고려대 함병주 교수팀, DNA 메틸화 과정 규명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몸에 염증이 많으면 우울증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잇따르는 가운데, 국내 의학자가 왜 그런지 과정을 뚜렷이 밝혀 우울증 예방과 치료의 실마리를 마련했다.

고려대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함병주 교수와 한규만 교수가 이끈 공동 연구진은 “염증이 특정 유전자의 조절능력에 이상이 생기도록 부추기는 방아쇠 역할을 해서 우울증이 생긴다”는 것을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진은 동물실험을 통해 우울증과 유사한 행동 패턴을 보이는 동물에서 염증 조절 경로인 인터페론(Interferon)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19세~64세 성인 중 우울증 환자 350명과 정상인 대조군 161명의 유전체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전자의 특정한 부분에 생기는 변화를 분석했다.

우울증 환자군은 대조군과 비교해 염증 조절에 관련된 'DNA 메틸화(유전자 발현 억제·조절)' 정도에 변화가 있음을 발견했다.

우울증 환자는 염증 유전자의 DNA 메틸화에 생긴 변화로 염증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할 수 있다. 염증 유전자의 발현은 뇌를 비롯한 체내 염증 상태를 증가시킬 수 있고, 감정 조절에 관여하는 뇌의 전두엽 부위에 구조적 이상을 일으켜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다.

연구팀은 뇌 자기공명영상촬영(MRI)으로 우울증 환자와 대조군의 대뇌 피질 두께의 차이도 비교했다. 그 결과 우울증 환자에서 염증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할수록 전두엽 부위의 대뇌 피질 두께가 줄어들어 있었다.

함 교수는 "염증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우울증뿐 아니라 뇌의 구조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 연구"라면서 "염증 유전자 발현이 개인의 우울증 발병 취약성을 평가하는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로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로 개인의 우울증 발병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우울증 발병 위험도가 높은 사람을 조기에 발견해 예방할 수 있는 치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건국대 신찬영 교수, 한동대 안태진 교수와의 공동 연구로 진행된 이번 연구는 정신의학분야 학술지 《뇌, 행동 및 면역 (Brain, Behavior, and Immunity)》 온라인판에 최근 실렸다.

 

고려대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함병주 교수(왼쪽), 한규만 교수
    정희은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