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의사과학자 양성, 부처별 분절 정책 문제"
대한의학회 학술대회서 정책 방향 및 해결책 논의
의료계가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해서는 '이미 진행되고 있는' 양성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연구중심 의대를 신설해 의사과학자 육성에 기여하겠다는 카이스트(KAIST)와 포항공대의 계획에는 여전히 회의적인 시선을 드러냈다.
대한의학회는 15일 학술대회에서 ‘의사과학자 양성 : 무엇이 문제인가’를 주제로 토의 세션을 개최했다. 더 많은 의사과학자를 양성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안하고, 현재 제도의 문제점을 진단하는 자리를 가진 것. 발표를 맡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신찬수 이사장은 현재 정부의 의사과학자 지원 시스템이 부처별로 분절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그 기간도 짧다고 지적했다.
신 이사장은 “의치대 및 의치전원의 연간 졸업생 약 3800명 중 30여명 정도가 의사과학자를 지원한다는 조사가 있다”며 “과연 지금 진정한 의미에서 의사과학자가 양성되고 있는지 의문을 갖기 충분한 수치”라고 말했다.
신 이사장은 새로운 인력을 의사과학자의 길로 유입시키는 것도 필요하지만, 현재 의사과학자로 활동하는 이들에게 연구에 매진할 수 있는 환경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기존 40개 의대 중 연구중심 의대 선정 △의사과학자 개인에게 연구비 및 생활비 지원 △의대와 과기특성화대 연계 프로그램 등의 정책을 제안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 대한기초의학협의회 심서보 정책개발이사는 “의대 재학생이 기초의학을 선택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으로 어려울 것 같다는 인식 때문”이라며 “기초의학교실 교수가 되지 못하면 의사과학자로 생계를 유지할 수 없다는 현실적 공포감을 해결하고 안정적인 연구를 지원하는 방편을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카이스트와 포항공대의 의대 신설 계획에 대한 의료계의 입장도 다시 한번 논의됐다. 패널로 나선 연세대 의사과학자 양성사업단 이민구 교수는 “미국에서 이미 MIT 공대나 칼텍(CalTech, 캘리포니아 공대)이 의과대학과 연계해 이원화된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며 “과연 MIT가 의대를 만들 역량이 부족해서 그런 방법을 택했겠나. 효율성이나 교육 효과 측면에서 과기특성화대가 직접 의대를 만드는 것이 최선의 방법일지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패널에는 포항공대 전자전기공학과 김철홍 교수가 포함돼 공학계의 입장을 소개하기도 했다. 김 교수는 “지금까지는 기초의학을 중심으로 의사과학자 교육 체계가 운영되었다면, 포항공대의 목표는 의학을 이해하고 있는 공학자를 길러내자는 것”이라며 “급격하게 성장한 바이오헬스 산업에서 연구자들이 다양한 진로를 선택하는 가능성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의료계의 반응에 대해서도 “우려 섞인 시선이 있는 것은 알지만, 대한민국이 바이오헬스 산업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려면 리스크를 감수할 필요도 있다”며 “포항공대에서 다른 형태의 의대를 실험하는 것이라고 생각해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