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모 10명 중 1명은 조산...위험인자는?
35세 이상 산모, 다태아 임신 등 검진 중요...
국내 산모 10명 중 1명은 조산을 하는 걸로 나타났다. 최근 10년 간 조산 비율은 1.5배로 늘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2011∼2021년 국내 출생아는 47만1000명에서 26만1000명으로 45% 줄었다. 같은 기간 신생아 중 조산아 비율은 6.0%에서 9.2%로 1.5배 늘었다. 35세 이후 임신을 하거나 난임 시술 등으로 다태아(쌍둥이, 세쌍둥이 등) 출생이 늘면서 조산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조산은 임신 20주에서 37주 사이 발생하는 분만이다. 37주를 채우지 못하고 태어난 신생아는 사망률이 높거나 행동장애, 뇌성마비, 자폐증, 천식 등 여러 합병증도 나타날 수 있다.
조산을 예방하려면 조기 진통을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기 진통은 임신 20~37주 사이 자궁이 수축하면서 산모의 자궁경부가 짧아진 상태다. 임신 중기(15~28주) 초음파 검사로 자궁경부의 길이를 측정하면 비교적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자궁경부는 여성의 질에서 자궁으로 향하는 좁은 부분으로 임신 기간 중 태아가 밖으로 빠지지 않도록 막는다. 출산이 다가오거나 출산 시에는 자궁경부의 길이가 짧아져 태아가 잘 나오게 된다.
출산일이 멀지만 자궁경부 길이가 짧다면 조산 위험성이 크다. 일반적으로 임신 기간 18~24주 자궁경부 길이가 2.5cm 이하일 경우 주의해야 한다. 이 경우 약물치료인 프로게스테론 요법이나 물리적 방법인 자궁경부원형결찰술을 통해 예방 치료를 해야 할 수 있다. 자궁경부원형결찰술(자궁경부원형묶음술)은 자궁경부가 짧거나 열려 있는 경우 임신 기간 동안 자궁경부가 닫힐 수 있도록 자궁경부를 묶는 수술이다.
임신 계획이 있다면 임신 전 단계부터 조산의 위험인자를 알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35세 이상의 고령 ▲19세 이하 ▲과거 잦은 유산, 기형아, 조산아 출산력 ▲유전질환 가족력 ▲당뇨, 고혈압, 갑상선질환, 천식 등 임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병 ▲저체중 혹은 비만 ▲자궁 및 자궁경부 기형 등이 있으면 조산 위험성이 높은 ‘고위험 산모’로 분류된다. 시험관 아기 시술을 통한 다태아 임신도 신생아와 산모의 합병증 위험을 높여 주의가 필요하다.
고려대 안암병원 산부인과 안기훈 교수는 “임신 전 검사, 임신 기간 중 정기검진으로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대비해야 산모와 아이의 건강을 지킬 수 있다”면서 “위험인자가 있다면 고위험임신 클리닉을 방문해 집중적인 치료와 관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