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황사, 심혈관 질환에 치명적
봄에는 미세먼지가 가득한 황사가 자주 나타난다. 이 미세먼지가 심혈관질환 발생에 담배보다 치명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의대 예방의학과 홍윤철 교수에 따르면 동아시아 지역 연구를 메타분석한 결과, 미세먼지가 10㎍/㎥ 증가하면 사망자수는 0.44% 늘었다. 국내 미세먼지의 대기환경 기준은 24시간 평균 100㎍/㎥ 이하, 연간 평균 50㎍/㎥ 이하다. 매우 나쁜 단계인 350㎍/㎥가 되면 사망자수는 13.2% 증가하는 셈이다.
서울 하루 평균 사망자는 115명인데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오염으로 하루에 15명이 더 숨질 수 있다는 이야기다. 홍 교수는 “서울의 평균 미세먼지가 30㎍/㎥인데, 이 수치를 반으로 줄이면 서울 인구의 수명을 1년 늘릴 수 있다”고 말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는 대기오염을 1등급 발암물질로 규정했다. WHO 보고서에 따르면 대기오염으로 인한 사망은 전 세계적으로 700만명에 이르며, 한국이 포함된 서태평양 지역에서 실내외 대기오염으로 인한 사망자수는 각각 160만명을 넘어서는 것으로 집계됐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입경 10μm 이내인 미세먼지(PM10)와 2.5μm 이내인 초미세먼지(PM2.5)에 장시간 노출되면 사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중 허혈성 심질환과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의 비율이 80%로 가장 높았고, 만성폐쇄성폐질환 11%, 폐암 6%, 급성하기도 질환 3%의 순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 교수는 “동아시아 7개국 27개 도시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서울과 부산, 인천 등 주요 도시의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높은 수준은 아니었지만, 미세먼지 농도를 20㎍/㎥으로 낮췄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조기사망 예방은 서울이 다른 도시들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단기대책으로 미세먼지 단계별 발령에 따른 차량2부제의 제한적 시행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중국 산업단지를 거쳐 몰아친 황사가 국내 대기오염원의 40%를 차지하며, 나머지는 자동차 연소물질과 산업체 연료사용 등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차량은 국내 대기오염원의 34%를 차지하는 초미세먼지의 최대 배출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