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못 찾아 '발 동동'...경증·중증별로 나눈다
현장·이송부터 진료, 수술까지 지역완결적 응급의료체계 구축
한밤중 아이가 경기를 일으키거나, 교통사고가 발생해 응급실을 찾은 경험이 있다면 구급차를 하염없이 기다리거나 병원에서의 기약 없는 기다림 등으로 고통을 받은 적이 있을 것이다.
국민들의 이 같은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는 21일 '제4차 응급의료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2027년까지 시행할 응급의료정책 방향을 담았다.
응급의료는 국민 생명과 직결된 대표적인 '필수의료' 분야로, 이번 발표 내용은 필수의료 지원 대책 중 중증·응급 분야 세부계획으로도 볼 수 있겠다.
응급의료는 응급환자가 발생한 시점부터 심신상 중대한 위해가 사라질 때까지 응급환자에게 시행하는 ▲상담 ▲구조 ▲이송 ▲응급처치 및 진료 등의 활동을 의미한다.
이번 계획에 의하면 우선 응급실 혼잡도 등의 정보를 포함한 정보제공시스템을 구축한다. 응급상황인지 불분명할 땐 119구급상황관리센터 상담서비스를 이용하고, 응급실은 중증응급환자가 우선이라는 원칙에 대해 홍보한다.
심폐소생술 의무교육 대상을 확대하고, 모바일 지도앱에서 자동심장충격기(AED)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이며, 응급의료 전용헬기(닥터헬기)를 취약 권역에 확충한다.
환자 중증도 분류 기준을 통일해 구급대의 이송병원 선정 역량을 강화하고, 이송 중 필요한 처치를 적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응급구조사 업무 범위를 확대한다.
응급의료기관 지정기준은 진단, 응급처치 중심에서 수술, 입원 등 후속 진료 역량까지 포함하도록 단계적으로 개선해나간다.
중증도를 기준으로 응급의료기관 진료 기능을 명확히 정립한다. 현 권역응급의료센터-지역응급의료센터-지역응급의료기관 간 역할 차이가 모호한 점을 고려, 중증-중등증-경증 응급진료 역할이 직관적으로 인지되는 명칭을 만든다.
중증응급질환은 병원 간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완결적 대응체계를 마련하고, 병원 간 순환당직을 운영한다.
전국 어디서든 1시간 내 중증응급환자가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중증응급의료센터를 확충하고, 응급의료분야 우수 인력이 확충될 수 있도록 당직 보상, 근로시간 보장 등을 검토한다.
중증외상 분야인 권역외상센터, 심뇌혈관 분야인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소아응급 분야인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정신응급 분야인 권역정신응급의료센터, 재난대응 분야 등에 대해서도 지원, 확충 개선 방향을 찾는다.
응급의료 전 과정이 개선될 수 있도록 지역응급의료체계 평가를 도입하고, 응급의료정보 제공 플랫폼을 개편해 이용 편의를 높인다. 중앙응급의료센터 운영 독립성을 확보하고, 지역응급의료상황실 설치 및 응급의료기금 재원 확충 등도 검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