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6개월 뒤 나타날 수도
지연성 PTSD는 예상 못하고 대처가 어려워 더 위험
대전 타이어 공장 화재, 튀르키예 대지진, 이태원 참사 등 가슴 아픈 소식이 전해지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대한 관심도 늘고 있다. PTSD는 사건에서 받은 스트레스가 계속되며 발생하지만, 사건 직후엔 덤덤하다 6개월 뒤 나타나기도 한다.
PTSD는 무서웠던 기억을 잊지 못하고 악몽에 시달리며 예민한 상태와 무기력한 상태가 번갈아 나타나는 상태가 1개월 넘게 이어지는 것이다. 지진, 화상, 성폭행 등 생명을 위협받거나 견디기 어려운 고통을 겪은 사람 10명 중 1명 꼴로 발생한다. 사고로 가까운 사람을 잃었거나 신체에 상처를 입었다면 PTSD 발병 확률이 높아진다. 평소에 받던 스트레스 정도나 과거의 아픈 기억도 영향을 줄 수 있다.
PTSD는 시기에 따라 급성, 만성, 지연성으로 구분한다. 사건 이후 3개월 동안 지속되면 급성, 그 이후에도 좋아지지 않으면 만성, 사건 6개월 이후 나타나면 지연성이다. 유형과 상관없이 증상은 비슷한데, ▲사건 당시의 생각, 느낌, 감정을 다시 경험하고 ▲이로 인해 극도로 예민하며 ▲사건을 떠올릴 만한 요소를 피하거나 ▲심한 우울감과 피해의식을 느낀다.
어느 한 유형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급성 PTSD가 완화되었다가 지연성으로 재발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어떤 유형이라도 증상이 심해지고 장기화될 수 있어 반드시 치료해서 후유증을 막아야 한다.
지연성 PTSD는 언제 어떻게 나타날지 알 수 없어 대처가 어렵다. 한림대 한강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병철 교수는 “가족 등 주변인의 관심이 필요하다”며 “당사자가 괜찮아 보여도 주변에서 심리 상태를 관찰하며 증상이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예방을 위해서는 사건 이후 증상이 없더라도 응급 심리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사건 직후부터 72시간 안에 안전한 곳으로 이동해 상담을 하며 심리 상태를 평가하는 것이다.
증상이 나타났다면 병원을 방문해 맞춤 치료를 받아야 한다. 증상이 심한 급성 PTSD는 예민한 상태를 약물로 안정시킨다. 어느 정도 사고 기억을 마주할 정도가 되면 심리 치료를 통해 현재는 자신이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