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세대 항암치료' 극대화!... 방해 반응만 피해서 암 제거
KAIST 연구진, '면역 조절T세포' 억제 물질 발굴
면역항암제로 불리는 '3세대 항암 치료제'의 효과를 극대화할 물질을 국내 연구진이 발굴했다. 항암제 투약 동안 치료 효과가 떨어지지 않도록 면역세포의 반응을 조절하는 원리다.
KAIST(한국과학기술원) 의과학대학원 박수형·신의철 교수와 삼성서울병원 서성일·강민용 교수(비뇨의학과) 공동 연구팀은 최근 '시캠1(CEACAM1)'이란 표적 단백질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신장암 환자의 조직과 혈액을 분석해 시캠1이 암 종양 내 조절T세포에서만 선택적으로 발현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조절T세포는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일반적인 T세포와 반대로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건강한 신체에선 과도한 항원-항체 면역반응을 방지해 자가면역질환을 예방하지만, 암 환자에게선 3세대 면역항암 치료의 효과를 떨어뜨리는 주원인으로 지목돼왔다.
시캠1은 종양이 없는 건강한 혈액(백혈구)의 조절T세포에선 발현하지 않아 정상적인 면역 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암 종양 속 조절T세포에선 시캠1이 발현하며 면역반응을 억제했고 그 결과 면역항암제의 치료 효과도 떨어졌다.
이에 연구진이 시캠1이 발현하는 종양 속 조절T세포를 제거하자, 면역항암제의 종양 제거 능력은 월등히 개선했다. 또한, 단일세포 전사체 데이터를 분석해 이러한 과정이 신장암뿐 아니라 다양한 암 질환에서 나타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향후 이번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기존의 면역항암제에 대한 신체의 저항성을 극복해 매우 효과적인 면역항암 치료제를 개발할 것으로 연구진은 기대했다.
강민용 교수는 "종양 내 조절 T세포를 제어하는 면역항암 치료 전략에 많은 연구자가 관심을 가져왔지만, 이를 활용한 실제 치료법은 아직 전무한 실정"이라면서 "이번 결과는 종양 내 조절T세포에 대한 생물학적 이해를 높이면서도 이를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단백질 물질을 발굴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견연구자지원사업과 기초연구실지원사업을 받아 수행했으며, 논문은 미국암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클리니칼 캔서 리서치(Clinical Cancer Research)'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