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뒤 2년내 사망률 30%… 미세한 실금도 위험한 이 부위는?
고령층 낙상 예방 각별한 주의 필요
겨울철 빙판길은 낙상사고의 주범이다. 특히 근육과 관절이 약하고 균형 감각이 저하된 고령층에게는 더욱 위험하다. 고관절은 실금도 수술로 이어질 수 있으며 연구에 따르면 고관절 골절 환자는 수술 후 2년 이내 3분의 1이 사망하고 4명 중 1명은 야외 보행이 불가능해진다.
고관절 골절은 대부분 고관절부의 외측을 직접 부딪히면서 발생한다. 젊은 층의 고관절 골절은 추락과 교통사고 등의 외상이 주원인인 반면, 고령 환자는 단순 낙상에 의한 경우가 90%에 달한다. 만약 고령에 골다공증까지 있다면 침대에서 구르거나 의자에서 일어서는 일상적인 활동으로도 고관절이 부러질 수 있다.
골절된 고관절 쪽의 다리는 반대쪽에 비해 짧아지며, 걸을 때마다 통증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체중이 직접 실리는 대퇴부를 구부리거나 회전하려고 할 때 통증이 심해진다. 골절이 크지 않다면 걸을 수도 있고, 경미한 통증만 경험하며 다리가 정상으로 보이기도 한다.
고관절 골절은 연령과 관계없이 대부분 수술이 필요하다. 골절부 고정술이나 인공관절 치환술이 주로 이뤄지며 두 방법 모두 가능한 빨리 시행하는 것이 좋다. 골절 합병증으로 식욕부진과 욕창, 폐렴 등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인공관절 수술을 했다면 관절 탈구를 예방하기 위해 수술 후 앉거나 걷는 자세를 유의해야 한다. 또 수술의 종류에 따라 수술한 쪽 다리의 체중 부하 과정이 다르므로 주치의의 지시를 주의 깊게 듣고 따라야 한다.
세란병원 인공관절센터 양익환 부장은 “고관절 골절로 인한 엉덩이 통증은 허리디스크와 유사한 점이 있어 무심코 지나치기 쉽다”며 “평소에 하지 근력 강화를 위한 스트레칭을 시행하고 시력 약화, 요실금, 어지럼증이 있는 경우 적절한 낙상 위험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