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절기에 몸만 아플까? 계절성 우울증도 주의
계절성 우울증을 방치했다간 만성 우울증으로 이어지기 십상
기온이 떨어지고 일교차가 커지며 부쩍 아픈 곳이 많아졌다. 기관지 통증부터 계절성 결막염, 알레르기 비염까지… 가을엔 몸만 아픈 게 아니다. 여름보다 일조량이 줄어 특별한 이유 없이 ‘마음’도 축 처지고 무기력해진다. 계절성 우울증(seasonal depression) 또는 계절성 정서장애(seasonal affective disorder)는 어찌 보면 계절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계절성 우울증은 일조량 감소에 따른 호르몬 변화가 주원인이다. 주로 가을에 증상이 시작되고 새순이 돋고 일조량이 늘어나는 봄이 오면 우울감이 개선된다. 계절성 우울증 환자는 여성이 60~90%를 차지할 만큼 성별 차이가 크다. 일조량이 줄어 멜라토닌 호르몬 분비가 늘고, 신체·정신적 변화가 생기고 우울증까지 이어진다. 증상을 방치하면 겨우내 증상이 심해져 만성 우울증으로도 발전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계절성 우울증은 일반 우울증과는 증상이 조금 다르다. 우울증은 공통적으로 극심한 피로와 의욕 상실 증상을 보인다. 계절성 우울증은 식욕이 늘어 탄수화물과 달콤한 디저트를 많이 먹어 몸무게가 늘어나는 경향이 크다. 또 멜라토닌 호르몬이 수면욕을 증가시키고, 무기력증이 심해져 일상 생활에 불편을 겪는다.
계절성 우울증을 이겨내려면 햇빛을 받는 시간을 늘려야 한다. 실내 운동보단 오후 시간 야외 활동을 늘리고 주말엔 등산이나 자전거 타기 등 자연에서 운동을 즐겨보자. 아침에 기상하면 커튼을 열어 빛이 들어오게 만들고 환기를 시켜 집안 분위기를 밝게 가꾼다.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한 돼지고기와 엽산이 풍부한 견과류, 비타민과 식이섬유가 가득한 제철 채소 섭취를 늘리고 하루 1.5~2L의 ‘생수’를 마셔 혈액순환을 촉진하자. 잠을 쫓으려고 커피를 많이 섭취하면 카페인 과다로 무기력증과 편두통, 두근거림 등을 느낄 수 있으니 무가당 주스와 따뜻한 차로 대신하자.
몸이 무겁고 잠이 온다고 해서 활동을 줄이고 늘어져 있으면 무기력증이 더욱 악화된다. 회사에서 틈틈이 움직임을 늘리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의자에 앉아 할 수 있는 스트레칭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 이용 ▲ 출퇴근은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 타기 ▲ 점심시간을 이용해 짧은 산책 등을 실천하자.
우울감이 2주 이상 지속되거나 가만히 있어도 눈물이 나고, 일상생활 유지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게 좋다. 상담뿐만 아니라 광선요법과 항우울제 등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