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500g 이상? 과일·채소 섭취가 보약

매 식사마다 과일과 채소를 챙겨 먹는 것이 건강에 좋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건강을 위해서 식생활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전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 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에서 질병으로 사망하는 사람의 4명 중 3명은 암이나 뇌졸중과 같은 비전염성 질병(NCD)에 걸렸다고 발표했다. 이어 각국이 이같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긴급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이들 질병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담배와 해로운 식단이라고 설명했다.

WHO는 “NCD는 이번 세기에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라며 “전 세계에서 매년 4100만명이 NCD로 사망하며 이는 질병으로 인해 숨지는 사람의 4분의 3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도 경제 성장과 함께 가공 식품 섭취와 외식의 빈도가 늘고 있다. 또한 식생활이 서구화하면서 육류 섭취가 증가함에 따라 비만, 고혈압 등 만성질환의 유병률이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만성질환은 사회경제적인 비용을 증가시키는 것은 물론 많은 이들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국제암연구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암 발병 원인 중 음식의 비중은 30%로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2위를 차지한 흡연보다도 오히려 높은 비중을 자치했다.

이미 미국에서는 1970년대부터 국민 식생활 개선을 위한 국가적 움직임이 커졌다. 이에 미국 상원에서는 에드워드 케네디의원과 조지 맥거번의원이 중심이 돼 ‘영양문제특별위원회’를 만들었으며, 맥거번이 위원장이 된 위원회에선 2년 동안 세계 각국의 석학들과 함께 청문회를 열면서 5000여쪽에 이르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현대병의 교과서로 불리는 맥거번 보고서가 탄생한 것이다.

보고서는 “인류가 현재의 식생활을 버리지 않는다면 멸망할 것”이라는 경고를 하면서, 육식을 삼가하고 당분이 많은 음식을 피하라고 권하고 있다. 또한 오늘날 우리의 건강을 크게 위협하고 있는 암, 고혈압, 심장병, 당뇨병등 각종 성인병은 현대인 식단에서 발생하는 ‘영양의 불균형’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동물성지방, 동물성단백질, 백설탕 등 우리 몸의 칼로리원이 되는 영양소는 섭취는 과잉인 반면, 신체 대사에 필요한 비타민, 미네랄 등과 섬유질이 크게 부족한 것이 질병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결국 보고서는 각종 성인병 등의 질병에서 해방되고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과일, 채소, 전곡류 등을 더 섭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는 운동과 함께 건강한 식생활을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영국 런던대학교의 보고서는 과일과 채소 섭취의 중요성을 드러낸 대표적 조사다. 런던대는 2001~2008년 사이 매년 영국에서 건강조사를 실시했으며, 약 6만명을 대상으로 역학 조사를 실시했다. 결과는 놀라웠다. 채소와 과일을 하루 560g 섭취할 경우 조기 사망의 위험이 무려 42%나 줄어든 것이다. 암 사망률과 심장병 사망률도 각각 25%, 31%가 감소했다.

이에따라 여러 국가는 영양불균형 해소를 위해 각종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대표적인 국가가 핀란드다. 소금과 지방섭취를 줄이고 채소와 과일 섭취 권장을 위해 국가산업인 낙농업 대신 딸기류 작물산업 육성 등 국가적 건강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이 결과로 30년 동안 심장질환 사망률이 80%이상 감소했으며, 암 발생 사망률도 53%가 줄었다.

지난 2010년 미국은 학교건강식단급식법을 만들어 학교 급식에 지방과 염분을 줄리고 정제되지 않는 곡류, 신선한 과일과 채소의 비중을 늘리는 정책을 시행하기도 했다.

우리 정부는 지난해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을 위해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지침’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러나 여전히 과일·채소 섭취 부족 문제는 풀리지 않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과일·채소의 권고 섭취기준인 1일 500g 이상을 섭취하는 인구 비율은 2015년 이후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젊은 성인의 과일·채소류 섭취량이 부족한 상황이다.

 

[그래픽=최소연 디자이너]
    윤은숙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