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 백신개발, 리스크도 나눈 정부 전폭지원"

팬데믹 제약바이오 성적 초라...산학연 네트워크, 개발속도에 핵심

자금지원
자금지원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약 만드는 '리스크' 부담에 동참할 필요가 있다는 제약바이오 업계 목소리가 나왔다. 코로나19 팬데믹을 지나오면서 미국과 독일 정부는 임상시험 연구비를 지원하고, 일부 선진국들이 개발 완료 이전에 사전구매 계약을 체결해 개발 리스크 부담을 줄여줬듯이 한국 정부도 업체들의 약 개발 리스크에 직접 동참해야 한다는 요구다.

배진건 이노큐어테라퓨틱스 수석부사장은 제약바이오협회 정책보고서에서 "국내 제약바이오가 코로나19에 대응한 성적표는 SK바이오사이언스 백신이 간신히 모습을 드러냈고, 치료약은 과학을 바탕으로 하는 베이직은 보여주지 못하고 기대를 높여 주가 올리기에만 신경쓰는 모습을 보였다. 그런 IR/PR은 앞으로는 안 먹힐 것이다. 전체적으로는 초라한 성적표"라고 평가했다.

동시에 팬데믹을 통해 국가가 어떤 결정을 해야 하고, 보건당국의 역할이 무엇인지, 급변화하는 상황에서 개인이 어떤 결정을 내리고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에 대해 알게 됐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배 수석부사장은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새 정부에게 바라는 것은 정부가 과학의 '도우미'지 결코 '주체'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면서 "정부는 (이 과정에서) 질문자가 되어야지 명령자가 되면 큰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영국, 미국, 일본 정부는 신약에 대한 사전구매 계약을 체결해 리스크 부담을 줄여줬다. 아직 성공하지도 않았는데 먼저 동참한 것인데, 한국 정부는 선구매에 늦었다. 도래할 감염병 시대에는 정부가 약 만드는 '리스크' 부담에 동참했으면 한다"고 했다.

또한 코로나19로 향상된 백신생산 능력을 유지하는 데도 정부의 공동부담을 요청했다. 이 능력을 어떻게 활용하고, 가동률이 적은 때에는 어떻게 할 것인지 등 공공 부담을 정부가 함께 해야 한다는 것이다.

업계에는 크고 작은 회사들의 협력을 제안했다. 이번 코로나19 mRNA 백신을 개발한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의 협업이 대표적인 예다. 모더나와 미국 국립보건원은 작은 회사와 큰 연구소, 영국 옥스퍼드 대학 백신그룹과 아스트라제네카도 파트너로 협력했다. 백신 개발단계마다 산업-학계-연구소 네트워크가 힘을 발휘했다는 분석이다. 단계별로 기업과 연구소, 임상수탁기관 및 위탁생산기관이 파트너로 협업해 개발과정에 속도를 높였다.

그는 이어 "다음 팬데믹은 5년 안에 또 올 것이다. 사스(SARS)는 2002년부터,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은 2012년, 코로나19는 2019년에 발병했다. 바이러스 출현이 10년에서 7년이었기에 다음은 5년으로 단축될 것"이라며 "사스, 메르스, 코로나19 등 세 가지 리보핵산(RNA) 바이러스는 단일 염기서열이라 돌연변이가 빠르다. 지구가 비행기로 점점 더 연결되기 때문에 새로운 바이러스 출현은 더 빠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장봄이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