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게임, 문화인가 질병인가?

두뇌 건강법...비디오 게임,언어 배우기, 음악, 여행, 운동, 미술

비디오 게임을 하는 커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많은 학부모들의 우려 속에 숱한 논란을 빚어온 비디오게임은 과연 문화인가, 질병인가?

세계보건기구(WHO)는 ‘국제질병분류 11차 개정판(ICD-11)’에 '게임 이용 장애'라는 질병코드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국 건강매체 ‘헬스라인(Healthline)’은 두뇌를 건강하게 하는 방법 여섯 가지로 비디오 게임을 비롯해 언어 배우기, 음악, 여행, 운동, 미술 등을 꼽았다. 이 가운데 비디오 게임은 이점-위험 가능성을 둘러싸고 논쟁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하지만 비디오 게임을 즐기면 인지 기능이 좋아지는 등 많은 이점을 보이고 있다.

헬스라인에 따르면 비디오 게임은 운동 조정력(운동 협응), 시각 인식력·공간 탐색력, 기억력과 반응 시간, 추론·의사결정·문제해결 능력, 회복력, 협력 및 팀 참여도 등의 개선에 큰 효과를 낸다.  비디오 게임은 두뇌에 새로운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다. 이런 효과는 게임 플레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게 확실하지만, 삶에도 영향을 미친다. 실패를 딛고 일어나는 지혜를 게임에서 배울 수도 있다. 좌절에서 벗어나 회복하는 힘을 기를 수 있다. 또 게임에서 다양한 솔루션을 탐색하다보면 자연적으로 창의적인 사고가 개선된다.

2019년의 한 연구 결과를 보면 3D 어드벤처 게임은 기억력, 문제해결 능력, 장면 인식력 향상에 기여한다. 또 퍼즐 게임은 문제해결 기술, 두뇌 연결성 및 공간 예측력의 개선에 도움이 된다. 춤 또는 운동 비디오 게임과 같은 리듬 게임은 시공간 기억력과 주의력을 향상시키는 데 좋다.

이런 효과는 약 16시간의 게임 플레이 후에 시작된다. 물론 한꺼번에 16시간 동안 플레이해야 한다는 뜻은 아니며, 그렇게 권장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여가 시간을 틈타 매주 몇 시간씩 게임을 하면 ‘신경 가소성(neuroplasticity)'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박보균 문체부 장관은 최근 WHO의 게임 관련 움직임에 대한 대응을 시사하고 나섰다. 그는 게임업계와의 간담회에서 “게임은 문화다. 질병이 아니다”라며 "게임 과몰입을 질병으로 몰아가는 시선이 있으나, 지혜롭게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김영섭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