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혈모세포이식 혈액암 환자, 위암 위험 3.7배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혈액암 환자는 건강한 사람보다 이차성 고형암이 발병할 위험이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식 후 합병증뿐만 아니라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암 예방 및 관리에도 유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가톨릭혈액병원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해 2002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국내에서 혈액질환으로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자 5177명과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지 않은 건강한 일반인 5177명을 대상으로 기존 혈액질환 외 다른 고형암 발생률을 비교 분석했다.
조혈모세포를 가족 및 타인에게 받는 동종조혈모세포이식 환자는 치료 후 일반인보다 고형암 발생 위험이 약 1.7배 높았다. 위암 위험이 3.7배로 가장 크고 ▲두경부암 3.2배 ▲부인암 2.7배 ▲갑상선암 2.1배 ▲대장암 2배 순으로 높았다.
조혈모세포이식이란 백혈병‧악성 림프종‧다발성 골수종 등 혈액종양 환자에게 고용량 항암 화학요법 혹은 전신 방사선 조사를 통해 환자의 암세포를 제거한 뒤 건강한 조혈모세포를 이식함으로써 혈액암을 사멸시키는 세포치료법이다.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은 혈액암 완치를 위해 시행되며 이후 합병증을 조절하는 것이 핵심이다. 다만 고형장기에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암 질환은 혈액병원 진료로만 예방하고 진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혈액내과 박성수 교수는 “조혈모세포이식 치료 후 이차성 암 발병 위험은 국외에서는 이미 확인됐다. 국내 빅데이터로는 처음 확인한 만큼 조혈모세포이식 치료를 받은 환자는 국가 암검진 등 건강검진을 적극 활용해 혈액질환 이외에 발생할 수 있는 악성종양도 예방해야 한다”고 말했다.
혈액병원 병원장 김희제 교수(혈액내과)는 “혈액암을 치료하기 위한 조혈모세포이식치료, CAR-T를 포함한 세포면역치료는 예기치 않은 전신적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혈액질환에 국한하지 않고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다학제 진료 시스템이 필수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조혈모세포이식치료와 암 발병 상관성을 조사한 국내 첫 대규모 연구다. 국제학술지 《국제암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정식 게재에 앞서 5월 온라인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