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딸들이”... 완치 힘든 이지혜의 심장병은?

가수 겸 방송인 이지혜. [사진=SBS]

심장병 진단을 받은 가수 겸 방송인 이지혜가 3년 반 동안 진행한 라디오 MC를 그만 두기로 했다. 그는  3일 방송에서 “심장 쪽에 병이 생겨 약을 꾸준히 먹고 있다. 죽거나 은퇴할 정도는 아니지만, 지병이 생겼다. 두 아이의 엄마이다 보니 아이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야겠다는 생각도 들었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은 많이 좋아졌는데 중간에 숨이 차고 힘든 과정이 있었다. 티 내지 않으려고 노력 했다”고 말했다. 그는 오는 15일 MBC FM4U ‘오후의 발견’ 진행자에서 하차할 예정이다.

이지혜는 전날 방송된 SBS ‘동상이몽 시즌2-너는 내 운명’에서 심장병 진단 소식을 전했다. 3개월 전 둘째 출산 후 부종과 호흡곤란 증상이 있어 심장내과 진료를 받았다. 심장 기능이 떨어지고 폐에 물이 찼다는 진단을 받았고 정밀 검사에서 심장판막질환으로 나왔다.

당시 심장 전문의는 “검사 결과를 보니 몸속에 심부정맥 혈전증이 많이 생긴다. 혈전이 혈류를 따라가다가 폐동맥으로 들어가면 혈관을 막는 폐색전증이 온다. 이 때 저혈압과 호흡곤란이 발생한다. (이지혜의) 혈전 수치가 1만이 넘어갔는데, 보통 4000 이상이면 위험하다”고 했다.

전문의는 “지금은 전반적으로 호전됐지만 심장판막질환은 그대로 있다. 임신 전부터 있었던 것 같고 임신·출산을 거치며 증상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그냥 두면 심장이 점점 늘어날 수 있다. 심장이 일을 2배로 하는 격”이라고 했다. 이지혜가 ‘약을 먹으면 완치되냐’고 묻자 “완치보다는 평생 그 상태로 유지만 할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

이지혜는 “내가 너무 건강한 줄 알았는데 속상하다...평생 약을 먹어야 한다. 우리 딸들을 위해 건강해야 하는데...” 눈물을 보였다. 이지혜의 증상과 별도로 일반적인 심장판막질환에 대해 질병관리청의 자료를 토대로 알아보자.

[사진=SBS]
◆ 심장판막질환은?

심장에는 여닫이문 역할을 하는 4개의 판막이 있다. 혈액은 심장이 수축하고 이완할 때 판막이 열리거나 닫힘에 따라 심방에서 심실로 흐른 후 심실에서 대혈관으로 나온다. 만일 판막이  손상되면 잘 열리지 않아 좁아진 문으로 피가 제대로 흐를 수 없다. 이를 판막 협착이라 한다. 반대로 잘 닫히지 않아 피가 새면 판막을 지나갔던 피 일부가 다시 돌아오게 된다. 판막 역류라 한다.

◆ 발생 원인은?

판막이 손상되는 원인은 다양하다. 예전에는 류마티스성 열에 의한 승모판막 질환이 가장 많았으나, 요즘은 그 빈도가 크게 줄었다. 선천성 심장질환으로 판막구조와 기능에 장애가 있을 수도 있다. 또한, 판막 질환이 다른 신체기관 장애와 같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대동맥판막 협착은 다른 판막 질환에 비해 많은데, 평균수명이 증가하고 퇴행성 변화에 의한 협착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 증상은?

1) 활동할 때 숨이 가쁘거나 가슴이 아프며, 두근거리기도 한다. 2) 자주 피로를 느끼고  어지럼증이 나타난다. 3) 심하면 기절할 수도 있다. 4) 증상이 점차 심해지면 각혈, 전신 부종, 색전증(뇌졸중)도 나타날 수 있다.

평소에 증상이 가볍다가 갑자기 악화될 수 있다. 첫 증상으로 급성 호흡곤란이나 폐부종이 발생할 수 있다. 심근경색증, 심내막염, 대동맥 박리증, 외상 등에 의한 심장 판막 질환일 때는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어떻게 진단하나?

증상과 병력 그리고 신체검사 결과로 판막 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심장 초음파검사와 같은 심장 검사를 통해 정확히 진단한다. 입원이나 추가 특수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질환의 심한 정도, 동반 질환이나 합병증 등을 확인해야 한다.

◆ 치료는?

경증이면서 증상이 없을 때는 추적 관찰만 해도 된다. 그러나 2~5년마다 심장 초음파검사 등으로 추적검사를 해서 악화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고혈압이나 당뇨 등 다른 질환도 있다면  치료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일반적인 약물치료를 해도 증상이 계속되거나, 심장 기능이 점차 저하될 때는 수술을 해야 한다.

◆  운동과 식사는?

심장판막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정도에 따라 신체 활동을 줄여야 한다. 운동량은 담당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 특히 다른 사람과 경쟁하는 스포츠는 피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걷기, 수영 등 가벼운 신체 활동은 권장한다. 식사는 싱겁게 먹는 것이 좋고 고기를 포함해 다양한 음식을 골고루 섭취한다. 술, 담배를 피하고 과로, 과식도 피해야 한다.

    김용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