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 검사’ 해봐야 할 코로나 후유증 증상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 확진 후 격리는 끝났지만, 후유증을 겪는 사람이 많다. 특히 폐기능 저하로 호흡곤란을 겪는 경우도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폐기능이 저하됐다면 어떤 치료를 받아야 할까?

최근 국립보건연구원의 코로나 후유증 조사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진자 20~79%가 피로감, 호흡곤란, 건망증, 수면장애, 기분장애 등의 후유증을 호소했다. 지난 1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코로나19 확진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19.1%가 후유증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완치 후 후유증은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연구결과는 부족한 상황이다. 심각한 후유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중 하나가 호흡곤란이다. 코로나19를 심하게 앓은 환자 중에는 동일 연령대와 비교해 폐기능이 50% 수준으로 떨어진 경우도 있다.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폐기능 저하는 공기를 내쉬는 데 어려움을 겪는 폐쇄성 폐질환 패턴과, 공기를 들이마시는 데 어려움을 겪는 제한성 폐질환 패턴으로 나뉜다. 폐쇄성 폐질환은 폐포 및 기관지 등 폐조직에 생긴 문제로 인해 숨을 내뱉을 때 발생하는 호흡곤란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천식, COPD, 기관지 확장증, 폐수술 후 후유증 등이 있다. 흡연 및 유해물질 노출 외에도 유전적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제한성 폐질환은 최근까지 이슈가 됐던 가습기 등 외부 물질로 유발되거나,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유로 폐 간질에 섬유화 등을 일으키는 간질성 폐질환, 감염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폐렴‧결핵이 있다. 근육 자체 위축이 진행되는 선천성 질환 등에 의해 근육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신경근육계 질환도 해당된다. 희귀병인 루게릭병, 중증 근무력증, 척수성 근위축증 및 뒤센 근디스트로피 등이 이에 속한다. 활동성이 저하된 근육이 계속해서 굳어지며 호흡이 더욱 어려워지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코로나 후유증으로 인한 호흡곤란은 주로 근력 약화를 동반하는 제한성 폐질환 패턴을 보이지만, 폐쇄성 폐질환 및 확산능(폐의 산소교환능력) 장애와 같이 다양한 형태 호흡기능 저하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의해 폐포 및 기관지 등 폐조직이 손상을 입거나, 코로나 치료를 위해 호흡기 치료를 받거나 장기간 입원하며 발생하는 것이다.

허파를 채우고 있는 3억 개 얇은 공기주머니인 폐포는 산소를 모으는 일을 담당한다. 폐포를 다 합친 표면적은 70㎡로 이는 우리 몸 피부 표면의 넓이보다 40배나 더 크다. 이렇게 넓은 표면적 덕분에 산소를 최대한 많이 흡수할 수 있다. 이처럼 호흡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폐포는 일정 수준 이상의 큰 손상을 입으면 회복이 불가능한 만성호흡부전 상태가 될 수 있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재활의학과(호흡재활) 박지현 교수는 “코로나19 완치 후 전과 비교해 운동 시 호흡에 어려움이 있거나 지구력이 떨어지는 증상이 지속된다면 코로나 후유증으로 인한 폐기능 저하를 의심해야 한다”며 “코로나19로 폐조직이 심각하게 손상된 경우 재활치료를 통해 더 악화되지 않도록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 호흡곤란 유발하는 폐기능 저하, 치료는 어떻게?
만성호흡부전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자발적으로 회복이 되지 않는 장기적인 호흡부전 상태다. 정상적인 호흡이 어려워 이산화탄소가 누적되고 산소포화도가 감소하며, 자극성 외부물질을 강제로 배출시키는 기침에 어려움을 겪어 가래가 쌓인다. 중증환자는 10m도 걷지 못하고 치료도 쉽지 않다.

박지현 교수는 “사람은 가만히 있거나 가벼운 활동을 할 때 1분에 12회에서 많게는 20회 정도 숨을 쉰다. 1년에 숨 쉬는 횟수는 850만 번 정도로 이렇게 모아진 산소는 신체에서 에너지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며 “우리 몸의 모든 세포는 산소가 필요하기 때문에 호흡에 문제가 생기면 신체가 병들고 일상생활이 불가능해질 수밖에 없다. 호흡에 문제가 생긴다면 간과하지 말고 반드시 전문의에게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치료는 폐쇄성 폐질환과 제한성 폐질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환자의 질환 및 폐기능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는 유산소, 근력운동과 같은 운동 재활치료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호흡곤란, 피로도와 같은 증상과 함께 산소포화도, 심박수 등을 모니터링하며 강도를 점차 높인다. 호흡곤란 증상이 심하고 빈도가 높은 환자에게는 호흡재활 프로그램을 함께 진행하게 된다.

제한성 폐질환 중 신경근육계질환 환자는 중증 호흡부전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질환 및 증상에 따라 앰부백을 이용한 폐 팽창훈련, 기침유발기를 이용한 보조기침훈련, 호기성양압운동기구를 이용한 가래 배출 훈련 등을 해야 한다.

두 질환 모두 중요한 것은 질환 및 증상에 맞는 효율적인 호흡법 교육이다. 하지만 초기에는 환자들이 쉽게 따라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밤에 증상이 악화되는 일이 적지 않다는 것. 의료진의 모니터링 아래 조기에 훈련을 받고 위급상황에 대비해야 한다. 특히 코로나19 후유증으로 인한 호흡곤란 환자는 폐조직 손상과 오랜 기간 격리 및 중환자실 치료로 인한 근력저하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전신 근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운동재활치료와 호흡재활치료를 병행해야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김성은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