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 척추측만증, 외형적으로 ‘이렇게’ 달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척추 건강은 삶의 질과 심리적인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앉아있는 시간이 많은 탓에 청소년기부터 척추 문제를 호소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대한의사협회지》에 게재된 청소년기 특발척추측만증과 관련한 진단 및 보존적 치료 연구에 따르면, 전체 척추측만증의 약 80~85%는 청소년기에 원인 없이, 우연히 발생하며, 청소년 환자 상당수가 정서적으로 고통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측만증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특발성 척추측만증은 척추뼈가 3차원적으로 10도 이상 좌·우 S자로 휘는 질환으로 청소년기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청소년기 특발척추측만증은 여아에서 주로 흔하다. 척추측만의 각도가 작을 경우 남녀 간 큰 차이가 없으나, 측만각이 클수록 여성의 비율이 높고, 만곡 진행의 위험성과 치료를 요하는 경우가 더 높다고 알려졌다. 여성이 남성보다 10배 이상 측만각이 진행할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특발척추측만증은 외형적으로 확인 가능하다. 고려대 안암병원 정형외과 양재혁 교수에 따르면, 등의 돌출, 어깨 높이 불균형, 짝 가슴(비대칭 유방), 허리 라인 비대칭 등으로 특발척추측만증을 의심할 수 있다. 이러한 외형적 이상을 환자 본인이나 보호자, 학교 선생님 및 학교 검진 등에서 우연히 발견해 내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창피하다는 이유로 측만증을 숨기거나 대수롭지 않다고 방치해서는 안 된다. 허리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측만증에서 허리통증이 발생하는 경우 특발척추측만증 이외 척추 또는 신경 내 잠재적인 이상이나 다른 질환이 함께 있을 수 있으므로 MRI 또는 CT 등 척추 정밀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

청소년기 척추측만증은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한 달에 평균 1도씩 진행되며, 50도 이상 만곡은 골격성숙 후에도 진행될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폐활량 감소와 흉추 측만증 진행 정도 사이에는 상당한 연관관계가 있어서, 80도 이상 흉부 만곡은 폐활량 감소에 따른 호흡곤란 발생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 첫 진단 시 측만곡이 큰 경우, 연령이 어릴수록 만곡의 진행 위험성이 높다. 만곡이 이미 25도 이상이고 이미 급속성장기가 진행 중이라면 이후 만곡이 30도 이상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다.

척추측만증은 성장이 남아 있는 기간 특징적으로 진행하지만 성장이 완료되면 측만이 더 이상 심해지지 않는다. 아이의 성장 잠재력을 예측하고 이에 맞춰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청소년기에 발생한 급속성장 시기와 기간은 성장 속도를 측정해 결정할 수 있는데, 이 기간 흉추는 연간 1.2cm, 요추는 연간 0.6cm씩 성장한다. 급속성장 기간 앉은키(흉·요추 분절 성장) 변화를 측정하는 것은 성장 속도 결정 및 척추측만증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된다.

◆ 특발척추측만증 치료, 꼭 보조기 착용해야 할까?

보조기 치료를 하는 특발척추측만증 환자 [사진=고려대 안암병원 제공]

치료 목표는 만곡이 더 진행되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만곡의 크기 정도, 만곡의 형태 및 위치, 환자의 성장 잠재력(연령, 초경 상태등)을 기반으로 치료방법을 결정한다. 척추 만곡이 20도 미만이거나, 성장이 종료된 경우 50도 미만 만곡은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만 관찰한다. 골격성장이 완료된 후에도 측만각이 진행될 수 있어 최소 1년 이상 경과를 지켜봐야 한다. 다만, 척추측만증 진행을 예방 및 교정하기 위해 다양한 운동 치료와 척추측만증에 특화된 운동 치료(PSSE), 물리 치료, 교정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만곡 진행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기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보조기 착용이 측만증 진행 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장시간 보조기를 착용할 경우 삶의 질 저하, 척추 움직임 제한, 외모적 문제, 통증, 정신적 피로감 호소 등의 단점도 발생한다. 보조기는 일반적으로 22~23시간 착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대다수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측만증은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지 않지만, 약 10% 미만의 환자에서는 측만각이 급속히 진행할 수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치료의 종류와 나이, 변형 정도와 관계없이 청소년기에 특발척추측만증으로 진단된 환자의 32%(총 92명 중 29명)가 심리적 고통을 받고 있으며, 종양 혹은 심장 수술을 받은 청소년들과 비슷한 정도의 걱정이 있다는 결과도 보고된 바 있다.

즉 특발척추측만증 청소년 환자의 정서적 관리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양재혁 교수는 “특발척추측만증은 외모에 예민한 청소년에게 체형 변화로 인한 자기 자존감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보조기 치료를 시행하면 외형상 차이 때문에 또래를 만나기 꺼리는 등의 정서적 고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면서 “자녀가 특발척추측만증 진단을 받고 치료를 하고 있다면 심리적으로 위축되지 않도록 관심을 갖고 격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은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