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감소 지역, 덜 걷고 병원 덜 간다
2021년 기준 인구감소 지역은 총 89곳이다. 최근 조사에 의하면 인구감소 지역과 비감소 지역은 건강지표에 차이가 있다.
인구감소 지역은 인구가 줄어들어 지역소멸이 우려되는 시·군·구를 의미한다. '국토균형발전특별법'에 따라 행정안전부장관이 지정·고시하는 지역들이다. 대한민국 제2의 도시인 부산,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도 인구감소 지역들이 존재한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지역별로 건강 문제에 차이가 있어, 지역별 맞춤형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20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구감소 지역과 비감소 지역의 주요 건강지표를 비교 분석했다.
우선 사회경제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인구감소 지역은 비감소 지역보다 고령층, 비전문·비사무직 인구가 많고 교육 수준과 가계 수입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건강지표 분석 결과에서는 인구감소 지역의 △걷기 실천율 △고혈압 진단 경험자(30세 이상)의 치료율 △연간 미충족 의료율이 비감소 지역 대비 양호하지 않았다.
좀 더 쉽게 말하면 인구감소 지역 주민들이 상대적으로 덜 걷고, 고혈압 진단을 받고도 치료를 덜 받으며, 최근 1년 동안 병·의원에 가고 싶을 때 가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인구감소 지역이 비감소 지역보다 양호한 부분들도 있었다. △중등도 이상의 신체활동 실천율이 더 높았고 △우울감 경험률이 낮았으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이 높았고 △고혈압 진단을 받은 사람의 수가 적었다.
현재흡연율, 고위험 음주율, 주관적 건강 인지율, 당뇨 진단 경험률, 당뇨병 진단 경험자의 치료율은 두 지역 간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지역별로 미흡한 지표와 양호한 지표에 차이가 있는 만큼, 각 지역의 주요 건강 문제를 파악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해소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상황.
질병관리청은 지역 고유의 건강 문제나 지역 간 건강 격차의 원인을 규명하고 해소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이미 지난 2017년부터 정책연구와 지원사업을 추진 중이다. 현재 6개 지자체와 읍·면·동 단위의 소지역 건강 격차 해소사업을 수행 중이다.
이번 건강지표를 인구감소 문제와 연관 지어 해석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겠다. 지역별 건강지표는 매년 다른 인구집단을 표본으로 한 횡단자료(cross-sectional data)를 기반으로 도출한다. 질병청은 이번 조사 결과가 인구감소와 건강문제 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해석에 주의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