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고열·두통, '코로나'는 아니라면
아이가 38도 이상 열이 나고 축 처져 있다면, 코로나19 또는 감기를 의심한다. 어린이집, 유치원 등 유아 집단생활시설에서 전염력이 높고 발열을 동반하는 병에는 코로나19 이외에 수족구가 있다.
수족구병은 일반적으로 4월 말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6월 중순 또는 7월까지 유행한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김민성 교수에 따르면, 날씨가 온화하고 새 학년 새 학기를 시작하는 봄철 이후 특히 수족구병을 주의해야 한다. 김민성 교수는 “전염성이 강해 한 아이가 걸리면 다른 아이도 쉽게 걸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 감기와 비슷한 수족구병 증상
수족구(手足口)병은 손, 발, 입안에 물집이 잡히는 병이다. 콕사키바이러스(Coxsackievirus A16) 또는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 71) 감염에 의해 발병하는 바이러스성 질환이다.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생긴 수족구병은 무균성 뇌막염‧뇌염‧마비성 질환 등 신경계 질환을 동반할 수 있다.
생후 6개월~5세 이하 아이들이 수족구병에 많이 걸린다. 주로 침, 콧물, 대변 등을 통해 전파된다. 수족구병 증상은 열감기와 비슷하다. 초반에는 미열로 시작해 점차 열이 오르고 좋아하던 음식도 잘 먹지 못한다. 입안을 잘 살펴보면 수포성 발진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입안 점막과 혀, 잇몸뿐만 아니라 손과 발에도 수포성 발진이 생긴다. 수포 때문에 물 마시는 것도 힘들어해 탈수 증상을 겪을 수 있고 두통, 설사, 구토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증상은 대부분 7~10일이면 회복한다. 전염성 질환이기에 코로나19, 독감과 마찬가지로 수족구병에 걸리면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는 일주일간 등원하지 못한다. 드물지만 뇌간뇌염, 뇌수막염, 급성이완성 마비, 신경원성 폐부종, 폐출혈 등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수족구 걸린 아이 어떻게 돌볼까?
수족구병에 걸리면 잘 못 먹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탈수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입안이 아파서 잘 먹지 못한다면 부드럽고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으로 먹인다. 따뜻한 음식보다는 찬 음식이 더 낫다. 부드럽게 넘길 수 있는 소프트아이스크림을 주는 것도 좋다. 찬 것을 먹으면 입안이 얼얼해져 아픈 것도 잊을 수 있기 때문.
해열제를 먹여도 열이 떨어지지 않으면 미지근한 물로 적신 수건으로 몸을 닦아준다. 수족구병을 진단받은 영유아가 ▲38도 이상 열이 48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39도 이상 고열이 있는 경우 ▲구토·무기력증·호흡곤란·경련 등 증상을 보이는 경우 ▲팔다리에 힘이 없거나 걸을 때 비틀거리는 경우에는 합병증을 의심한다.
김민성 교수는 “수족구병은 대부분 저절로 좋아지지만, 간혹 탈수나 합병증으로 급격히 악화될 수 있다”며 “아이가 잘 먹지 못하고 8시간 이상 소변을 보지 않으면 탈수를 의심해야 한다. 열이 심하고 머리나 배를 아파하고 토하거나 처지는 경우 뇌수막염이나 심근염 등을 의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로 발병 첫 주에 가장 전염성이 크지만, 증상이 사라진 후에도 분변 등을 통해 계속해서 바이러스를 전염시킬 수 있다. 김민성 교수는 “전염력이 강한 시기에는 자가격리를 하도록 하고 이후에도 분변 관리나 손씻기 등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봄부터 여름까지 영유아가 많이 걸리지만, 수족구병은 백신이 없다. 예방을 위해서는 아이가 손을 잘 씻게 하고 장난감, 놀이기구, 집기 등을 소독해야 한다. 아이는 물론 보호자 또한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체 전후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꼼꼼히 씻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