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고열·두통, '코로나'는 아니라면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아이가 38도 이상 열이 나고 축 처져 있다면, 코로나19 또는 감기를 의심한다. 어린이집, 유치원 등 유아 집단생활시설에서 전염력이 높고 발열을 동반하는 병에는 코로나19 이외에 수족구가 있다.

수족구병은 일반적으로 4월 말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6월 중순 또는 7월까지 유행한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김민성 교수에 따르면, 날씨가 온화하고 새 학년 새 학기를 시작하는 봄철 이후 특히 수족구병을 주의해야 한다. 김민성 교수는 “전염성이 강해 한 아이가 걸리면 다른 아이도 쉽게 걸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감기와 비슷한 수족구병 증상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수족구(手足口)병은 손, 발, 입안에 물집이 잡히는 병이다. 콕사키바이러스(Coxsackievirus A16) 또는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 71) 감염에 의해 발병하는 바이러스성 질환이다.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생긴 수족구병은 무균성 뇌막염‧뇌염‧마비성 질환 등 신경계 질환을 동반할 수 있다.

생후 6개월~5세 이하 아이들이 수족구병에 많이 걸린다. 주로 침, 콧물, 대변 등을 통해 전파된다. 수족구병 증상은 열감기와 비슷하다. 초반에는 미열로 시작해 점차 열이 오르고 좋아하던 음식도 잘 먹지 못한다. 입안을 잘 살펴보면 수포성 발진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입안 점막과 혀, 잇몸뿐만 아니라 손과 발에도 수포성 발진이 생긴다. 수포 때문에 물 마시는 것도 힘들어해 탈수 증상을 겪을 수 있고 두통, 설사, 구토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증상은 대부분 7~10일이면 회복한다. 전염성 질환이기에 코로나19, 독감과 마찬가지로 수족구병에 걸리면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는 일주일간 등원하지 못한다. 드물지만 뇌간뇌염, 뇌수막염, 급성이완성 마비, 신경원성 폐부종, 폐출혈 등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수족구 걸린 아이 어떻게 돌볼까?
수족구병에 걸리면 잘 못 먹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탈수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입안이 아파서 잘 먹지 못한다면 부드럽고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으로 먹인다. 따뜻한 음식보다는 찬 음식이 더 낫다. 부드럽게 넘길 수 있는 소프트아이스크림을 주는 것도 좋다. 찬 것을 먹으면 입안이 얼얼해져 아픈 것도 잊을 수 있기 때문.

해열제를 먹여도 열이 떨어지지 않으면 미지근한 물로 적신 수건으로 몸을 닦아준다. 수족구병을 진단받은 영유아가 ▲38도 이상 열이 48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39도 이상 고열이 있는 경우 ▲구토·무기력증·호흡곤란·경련 등 증상을 보이는 경우 ▲팔다리에 힘이 없거나 걸을 때 비틀거리는 경우에는 합병증을 의심한다.

김민성 교수는 “수족구병은 대부분 저절로 좋아지지만, 간혹 탈수나 합병증으로 급격히 악화될 수 있다”며 “아이가 잘 먹지 못하고 8시간 이상 소변을 보지 않으면 탈수를 의심해야 한다. 열이 심하고 머리나 배를 아파하고 토하거나 처지는 경우 뇌수막염이나 심근염 등을 의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로 발병 첫 주에 가장 전염성이 크지만, 증상이 사라진 후에도 분변 등을 통해 계속해서 바이러스를 전염시킬 수 있다. 김민성 교수는 “전염력이 강한 시기에는 자가격리를 하도록 하고 이후에도 분변 관리나 손씻기 등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봄부터 여름까지 영유아가 많이 걸리지만, 수족구병은 백신이 없다. 예방을 위해서는 아이가 손을 잘 씻게 하고 장난감, 놀이기구, 집기 등을 소독해야 한다. 아이는 물론 보호자 또한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체 전후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꼼꼼히 씻는 것이 중요하다.

    김성은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