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하지재활로봇 이용한 보행치료 안전하고 효과적일까?
하지재활로봇은 보행 회복 또는 유지에 활용되며 보행을 위해 체중을 지지하고 하지 움직임을 돕는데 사용된다. 특히 여러 명의 치료사가 함께 수행하는 복잡하고 힘든 물리치료‧작업치료에 활용되어 치료사가 들이는 힘은 줄어들고,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며, 기립, 보행, 균형 등 하지 재활훈련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재활로봇 기기는 로봇의 작동원리,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 ▲트레드밀형: 트레이드밀에 체중부하를 지지하는 시스템으로 체중을 지지, 관절 움직임을 돕는 외골격이 있는 로봇 예 : Lokomat(Hocoma), Walkbot(P&S Mechanics) ▲발판형 : 두 개 발판을 통해 보폭과 보행속도 등을 조절하며 보행훈련을 하는 로봇 예 : Gait Trainer(GT), Morning Walk(큐렉소) ▲지상형 : 옷처럼 입을 수 있는 외골격로봇 형태로 실제 기계가 아닌 복도(지상) 등을 걸으며 훈련하는 로봇 예 : 로봇슈트 HAL(사이버다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재활로봇을 이용한 보행치료, 안전하고 고식적 재활치료만큼 효과적일까?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뇌졸중 환자, 파킨슨병 환자, 소아청소년 환자. 다발성경화증 환자, 척수손상 환자에게 하지재활로봇을 이용한 보행치료가 안전하고 효과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문헌을 분석했다.
1. 뇌졸중 환자에서 하지재활로봇 보행치료
뇌졸중은 뇌허혈 혹은 뇌출혈 직후 신경이 회복되면서 뇌장애를 최소화하기 위한 재활운동이 중요하다. 보행기능 회복은 뇌질환 환자 재활치료의 가장 중요한 목표 중 하나다.
안전성은 대부분 연구에서 이상반응이 없거나 심각한 부작용 등이 보고되지 않았다.
유효성은 균형기능과 기능수행 능력 지표는 하지재활로봇 보행치료가 유의하게 개선 효과가 있었다. 시간 기준 균형기능, 기능 수행 능력, 근력, 보행속도, 보행거리, 삶의 질 등은 고식적(일반) 재활치료와 차이가 없었다. 특히, 뇌졸중 발생 6개월내에 심각한 보행장애가 있는 환자에서 개선효과가 확인돼 2022년 2월부터 선별급여 50%로 건강보험이 적용됐다.
2. 다발성경화증 환자에서 하지재활로봇 보행치료
다발성경화증은 중추신경계에 국한된 대표적 탈수초염증질환으로 재발과 완화를 반복하면서 장애를 남기며, 중추신경계 어느 부위든 신경학적 이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가장 흔한 증상은 척수로장애‧감각이상‧운동실조‧감각이상증‧괄약근조절장애‧피로‧경련 등이 있다.
안전성은 이상반응이 없거나 재활치료와 관련이 없는 경미한 부작용만 보고됐다. 유효성은 삶의 질과 피로 개선, 보행기능(거리·속도·걸음 등), 균형, 통증, 경직, 독립기능 등 고식적(일반) 재활치료와 차이가 없었다.
3. 척수손상 환자에서 하지재활로봇 보행치료
척수손상이란 척수에 가해진 외상으로 정상적인 운동, 감각 및 자율신경기능에 이상이 생긴 상태를 말한다. 부위에 따라 감각, 운동신경 손상으로 인한 마비를 비롯해 방광과 대장기능을 조절하는 자율신경 기능을 상실해 다양한 증상이 있다.
목 부분에서 척수가 손상되는 사지마비, 등뼈 이하(흉추, 요추) 부위에서 척수가 손상되는 하지마비, 감각 및 운동기능을 전부 혹은 부분적으로 상실한 완전, 불완전 척수손상이 있다.
안전성은 발목 쏠림(1명), 다리 찰과상(1명)과 같은 사소한 문제 외에는 이상반응이 없었다.
유효성은 보행기능, 근력, 기능수행능력, 경직, 균형, 삶의 질 지표를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모든 지표에서 고식적(일반) 재활치료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파킨슨병 환자에서 하지재활로봇 보행치료
파킨슨병은 명확한 원인 없이 천천히 진행하는 신경 퇴행성 질환이다. 운동장애, 근육경직, 떨림, 자세 불안정, 보행 장애, 수면장애, 인지기능 장애, 자율신경계 증상 등이 나타난다.
파킨슨병은 보행속도가 증가하고 보폭은 좁아지는 가속보행이 특징이고, 근골격계 운동성이 손상돼 보행 장애로 인한 골절 빈도가 높다.
안전성 관련 이상반응을 보고한 문헌은 5편, 모두 이상반응은 없었다.
유효성은 보행관련 점수는 하지재활로봇이 개선효과가 있었으나, 파킨슨병 중증도-총점, 운동성 검사, 거리 기준 보행속도, 걸음수 기준 보행속도, 보행거리, 걸음걸이 등 걸음 특성, 점수 기준 균형기능, 시간 기준 균형기능 등은 고식적(일반) 재활치료와 비교해 차이가 없었다.
5. 소아청소년 환자에서 하지재활로봇 보행치료
보행훈련을 수행하는 소아청소년은 대부분 뇌성마비로 인한 보행장애 환자다. 뇌성마비는 뇌기능 이상에 의한 비진행성질환. 근긴장도 변화(강직 또는 경직), 근력약화, 무의식적 동작, 운동실조 등이 개별적 혹은 중복해서 발생한다.
뇌성마비 치료의 목적은 최대한 독립적인 활동이 가능하게 하고 사용가능한 근육을 충분히 사용하는 것으로 관절 탈구를 예방하고, 최소한 보조기를 이용해 보행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안전성은 대부분 이상반응이 없거나 심각한 부작용 등이 보고되지 않았다.
유효성은 대동작기능평가(서기, 걷기, 뛰기, 도약), 거리 기준 보행속도, 걸음 수 기준 보행속도, 보행거리, 걸음길이 등 걸음 특성, 보행 지지시간 등 하지재활로봇과 고식적 재활치료와의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