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기 암환자 대하는 법.. 고 김철민의 경우

[김용의 헬스앤]


[사진= 고 김철민 묘지에 세워진 표석 / 김철민 SNS]

보건복지부·중앙암등록본부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국가암등록통계를 보면 멀리만 보이던 ‘암’이 언제든지 내게 다가설 수 있다는 느낌이 든다. 우리나라 국민이 기대수명(83세)까지 살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7.9%였다. 남자(80세)는 5명 중 2명(39.9%), 여자(87세)는 3명 중 1명(35.8%)이 암으로 고생한다는 얘기다. 나 아니면 가족이 암환자가 될 가능성이 꽤 높다는 통계인 것이다.

세 집 건너 암환자가 있는 세상이다. 과거와 달리 암을 바라보는 시선도 변했다. 예전에는 암에 걸리면 ‘사형선고’로 받아들였지만, 요즘은 꼭 그렇지는 않은 것 같다. 이제 암도 만성질환처럼 되어 가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많다. 일찍 발견해 치료에 집중하면 암은 충분히 이겨낼 수 있는 병이다.

하지만 여전히 암은 암이다. 환자 본인이 느끼는 충격은 엄청나다. “내가 암에 걸렸다니...” 암 자체의 고통보다 극도의 스트레스와 우울감이 온몸을 엄습한다. 특히 암을 늦게 발견한 말기 암환자가 느끼는 공포와 상실감은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암에 걸려보지 않고서는 암환자의 심정을 헤아리기 어렵다.

암환자 가운데 대중에게 알려진 개그맨 고 김철민은 폐암(4기) 투병 중에도 활발한 SNS 활동으로 주목을 받았다. 가수 보아 오빠인 고 권순욱 광고 감독도 복막암(4기)과 싸우면서 SNS로 본인의 치료 경과를 알리기도 했다. 두 분 모두 세상을 떠났다. 고인들의 명복을 다시 빈다.

많은 미디어에서 고인들의 SNS를 토대로 기사를 쏟아냈다. 나도 이 분들의 치료 과정을 글로 썼다. 그 때마다 우호적인 댓글이 달린 것만은 아니었다. “이젠 지겹다, 그만 다뤘으면...” “암환자가 이 사람만 있나...” 특히 김철민이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동물용 구충제(펜벤다졸)를 복용한 것을 두고 논란이 많았다.

권순욱 감독은 SNS에 “죽고 싶은 마음이 전혀 없는데, 의사들은 왜 그리 싸늘한가요?”라고 쓰기도 했다. 일부 의사는 “(살겠다는) 환자 의지가 강한 건 알겠는데 이런저런 시도를 해서 몸에 고통 주지 말고 그냥 편하게 갈 수 있게, 그저 항암약이 듣길 바라는 게….”라는 말도 했다고 썼다.

의사들이 실제로 이런 말을 했는지 확인하기는 어렵다. 다만 권 감독이 고통스런 암 투병 못지않게 주변의 말 한 마디에 깊은 생채기를 입은 것은 사실이다. 그는 “복막암 완전 관해(증상 감소) 사례도 보이고, 저도 당장 이대로 죽고 싶은 마음은 전혀 없는데...”라며 강한 투병 의지를 보였다.

의사, 병원 관계자들이 회원인 대한암협회의 권고수칙 첫 머리에는 “암 진단이 죽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나와 있다. 암 진단 후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절망이 아닌 희망을 선택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말기 암 환자라도 100% 사망하는 경우는 없다. 아무리 비관적인 경우라도 살아남는 사람이 있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희망의 증거”라고 강조했다.

대한암협회는 “나을 수 있다는 ‘확신’은 정말로 낫게 한다. 치료를 통해 나을 수 있다고 확신하면, 치료 효과가 극대화된다”고 했다. “암 치료 중 부작용을 두려워 말라”고도 했다. 고 김철민과 권순욱 감독은 이 ‘매뉴얼’ 그대로 실천한 것이다. 말기 암이 퍼지고 있는데도 “살고 싶다”는 강한 의지를 SNS에 나타냈다. 의사들이 모인 암협회의 권고수칙을 아주 충실히 따른 ‘모범 환자’였다.

그럼에도 고인들은 일부의 비난 댓글도 받았다. 물론 소수에 불과하다. 요즘은 의사가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알리기 위해 '냉정함'을 유지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환자에게 괜한 희망을 심어주었다가 조기 사망에 대한 책임으로 소송을 당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같은 말이라도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말 한마디에 천냥 빚 갚는다’는 속담도 있다. 전문가일수록 적절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길러야 하는 세상이다.

지난해 12월 별세한 고 김철민의 묘소에 지난 22일 표석이 세워졌다. 고인의 SNS에는 “표석 설치까지 마치고나니 비로소 이별이 느껴지네요. 제일 행복했던 때의 모습으로 꾸며보았습니다. 그 동안 물심양면으로 도와주셨던 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 가족 올림”이란 글이 올랐다.

표석에는 기타를 치며 노래 부르던 김철민의 생전 모습과 함께 “덕분에 행복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라는 글이 새겨졌다. 고인이 죽음을 앞두고 혼신의 힘을 다해 SNS에 마지막으로 남긴 말이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언젠가 3명 중 1명이 암환자가 될 수 있다. 암은 멀리 있는 게 아니다. 갑자기 내게 다가올 수 있다. 내가 암환자가 됐을 때 어떤 대우를 원하는가. 그런데 나는  지금 암환자를 어떻게 대하고 있는가... 고 김철민과 권순욱 감독이 하늘나라에선 상처받지 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영생하길 기원한다.

    김용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1
    댓글 쓰기
    • 서*** 2022-03-08 07:23:58 삭제

      옛날에 유대인들이 에이즈를 고치겠다며 코닥필름인화제를 물에 희석시켜 먹을 때도 외신은 보도만 할 뿐 말리지 않더라. 대머리의 자살수라 함은 서로가 서로를 죽이는 운세이니 어셔가의 몰락처럼 치매에 걸려 애미가 새끼들의 밥에 독을 타고 아들이 애비를 때려죽이고. 항암제가 없는 항암치료보다는 동물구충제가 차라리 나았을 수도. 어미의 위선과 애비의 시샘을 바라보고 자란 원숭이와 경단코. 동북아 속알머리가문의 위선과 시샘은 서남아 깡대머리가문 보다도 절망적이다. 서로가 서로를 등쳐먹고 파먹고 살 궁리부터 하는 악마같은 인생들. 죄의 결과 죽음이요. 죽음 전에 병이 있다.

      답글0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