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두근, 답답… 공황장애 치료법은?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경제적으로 어렵고 사회적으로는 고립된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코로나 블루'와 같은 정신건강 이슈가 하나의 사회문제로 부상했다.
이로 인해 공황장애와 같은 정신과 질환이 심해지는 경우도 늘고 있다.
특히 공황장애는 매년 환자 수가 증가하는 정신과 질환 중 하나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의하면 2010년 5만 명에서 2015년 10만 명, 2017년에는 14만 4000명으로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공황장애는 정신과 질환에 대한 편견이나 치료에 대한 거부감 때문에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기 쉽기 때문에 질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인지하고 있는 것이 좋다.
공황장애는 예기치 못하게 나타나는 공황 발작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장애로, 극도의 공포심이 들고 심장이 빨리 뛰거나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차며 땀이 나는 등 신체증상이 동반된 불안 증상이다.
공황 발작이 있다고 해서 모두 공황장애라고 진단하는 것은 아니다. 진단기준에 따라 전문의가 임상적 양상을 고려해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공황 발작의 원인은 가족적·유전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직계 가족 중 공황장애가 있는 사람은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신경전달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과 관련돼 있다.
하지만 한 번 발작을 경험한 이후 공황장애나 광장공포증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심리적 요인이 주로 관여한다. 공황장애 환자 중 상당수가 증상 발생 전 스트레스 상황을 경험한다는 것.
공황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에는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가 있다. 약물치료를 할 때는 항우울제(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저해제)나 항불안제(벤조다이아제핀 계열)를 주로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다른 계열의 약물을 사용하기도 한다. 인지행동치료는 정신과 치료의 일종으로 공황장애 치료에 효과적이며, 대개 개인보다는 집단을 대상으로 많이 시행하는데 환자들의 공황 발작에 대한 그릇된 이해를 교정하는 교육이 필수다.
약물치료는 증상이 호전돼도 재발 방지를 위해 8~12개월 동안 치료를 유지한다. 항우울제는 치료효과가 비교적 오래 유지되고 습관성이 적다. 하지만 불면, 흥분, 신경과민, 구역, 허약감, 어지러움, 성기능장애, 발한, 식욕감퇴가 나타날 수 있다. 항우울제의 대표 성분인 '플루옥세틴'은 다른 약제보다 불안, 불면, 식욕감퇴가 흔하게 나타나며, '파록세틴'은 입마름, '설트랄린'은 설사 등의 소화기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항불안제는 항우울제에 비해 치료효과가 빨라 불안감을 빠르게 감소시키지만 지속시간이 수 시간 정도로 짧고 오랫동안 사용할 경우 약물에 대한 내성이 생길 수 있으며 약물을 중단했을 때 금단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대표적인 성분으로 '알프라졸람'과 '클로나제팜'이 있으며, 과도한 경계심을 줄여주고 근육 긴장과 같은 신체적 증상을 없애주어 불안을 줄이는 데 효과가 있다.
약물치료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신과 전문의의 진료와 처방에 따라 시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환자가 임의대로 약을 복용하거나 중단하면 치료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오히려 불안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