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안 마셔도 지방간 있으면 심혈관질환 위험 4~8배 증가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은 심혈관질환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다. 비알코올성지방간을 방치하면 10년 내에 심혈관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4~8배 증가한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김원호 박사 연구팀이 '한국인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NAFLD) 환자 등록 임상코호트'를 활용해 이를 확인했다. 비알코올성지방간의 조직학적 중증도가 심화될수록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했다.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은 비만, 지질대사이상 등으로 간세포 내에 지방이 쌓여 생기는 질환으로, 음주와는 무관하다. 대한간학회 자료에 따르면 국내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 유병률은 20~30% 정도로 서구화된 식생활, 운동부족, 비만과 당뇨병 증가 등으로 유병률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이 질환은 심혈관질환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한국인 대상의 근거 생산이 더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연구팀은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 환자의 간 생검 자료를 기반으로 조직학적 중증도를 구분했다. 생검 조직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질환과 중증도를 살피면 선행 연구들이 실시한 초음파 영상이나 혈액검사보다 임상적 정확도가 높아진다.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의 중증도는 단순 지방간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으로 나뉘는데 단순 지방간은 임상적으로 예후가 양호하다. 하지만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은 염증, 간세포 풍선변성 등으로 간 손상이 동반돼 예후가 나쁠 수 있다.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간경화, 간암,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사망 위험도 높아진다.
연구팀이 비알코올성지방간 중증도에 따른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를 평가한 결과, 정상인에 비해 지방간염을 가진 비알코올성지방간 환자는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4.07배 증가했고, 간 섬유화를 가진 비알코올성지방간 환자는 5.5~8.11배로 발생 위험이 증가했다.
단순지방간을 가진 사람이라 해도 간 섬유화가 심할 때는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4.97배 증가했고, 지방간염을 가진 비알코올성지방간 환자가 간 섬유화가 있을 땐 중증도에 따라 경증일 땐 4.97배, 중증일 땐 9.42배까지 발생 위험이 증가했다.
비알코올성지방간 질환이 지방간염이나 간 섬유화로 심화될수록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하며, 단순 지방간일 때도 진행성 간 섬유화가 동반되면 그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국립보건연구원 권준욱 원장은 "심혈관질환 발생을 예방하고 감소시키려면 심혈관계 대사질환 중 유일하게 정상으로의 회복이 가능한 단순 지방간 단계에서 지방간염과 간 섬유화 발생을 조기에 예측·진단해 중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국제 간연구(Hepatology International)≫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