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 못 보는 사람은 색깔을 어떻게 인지할까?

 

정상적인 시력을 가진 사람들은 색깔을 쉽게 구분한다. 그렇다면 선천적으로 앞을 못 보는 사람들은 을 어떤 방식으로 인지할까?

 

'빨간색'과 '정의로움'이라는 단어를 떠올려보자. 시각장애인이 아니라면 추상적인 개념인 정의로움과 달리, 감각적 경험에 의해 알 수 있는 빨간색은 비교적 손쉽게 머릿속으로 떠올릴 수 있다. 정상적인 시력을 가진 사람은 눈에 있는 추상세포로부터 오는 신호들과 연계된 감각 경험을 통해 색을 인지하고 구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정의로움은 감각적 경험으로 인지하기 어려운 추상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언어에 의존해 의미를 파악하게 된다. 또 다른 추상적 개념'공정함'이나 '책임감'과 같은 단어들을 이용해 정의로움의 뜻을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앞을 못 보는 시각장애인빨간색정의로움을 각각 어떻게 인지할까?

 

 

 

하버드대학교 연구팀이 선천적 맹인인 실험참가자 12명과 정상 시력을 가진 대조군 14명을 대상으로 뇌 영상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정상 시력군은 빨간색과 정의로움의 개념을 생각하는 뇌 영역이 서로 다른 반면, 시각장애인군은 두 가지를 모두 추상적인 개념을 처리하는 뇌 영역에서 다룬다는 점이 관찰됐다.

 

일상에서 시각장애인과 대화를 나눌 때 그들이 빨간색의 개념을 잘 정의한다 해도 실질적으로 이를 인식하는 방법은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감각 체험에 의해 얻은 개념이 아니라, 읽거나 들은 내용을 바탕으로 한 묘사라는 설명이다.

 

 

 

시각장애인들도 색깔이 사물 혹은 환경을 구성하는 속성의 하나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들이 후각이나 청각 등의 감각을 감지할 수 있는 것처럼 시각 역시 감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부분이라는 사실 역시 알고 있다. 오렌지색은 녹색이나 파란색보다 노란색 혹은 빨간색과 가깝다는 사실들까지도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시각을 사용할 수는 없기 때문에 정상 시력을 가진 사람들과는 달리, 추상적인 개념으로 이를 이해한다. 연구팀은 fMRI를 이용해 실험참가자들이 단어를 들을 때 뇌에서 벌어지는 활동을 관찰했다. 실험참가자들이 들은 단어는 '컵'처럼 시력이 안 좋아도 다른 감각을 통해 감지할 수 있는 것, '빨간색'이나 '무지개'처럼 시각적 의존도가 높은 것, '자유'나 '정의'처럼 추상적 개념들로 구성됐다.

 

 

 

실험 결과, 두 그룹 모두 시각 이외의 감각을 통해 감지할 수 있는 단어들을 들었을 때는 전방 측두엽 중앙이 활성화됐고, 추상적인 단어를 들었을 땐 전방 측두엽 배측면이 활성화됐다.

 

반면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단어들을 처리하는 뇌 영역은 서로 달랐다. 정상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들은 이러한 단어들을 전방 측두엽 중앙에서 처리했고, 시각장애인군전방 측두엽 배측면에서 처리했다.

 

앞을 못 보는 사람들이 색을 인지하는 방식은 추상적인 단어들을 처리하는 과정과 유사하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감각으로 감지할 수 없는 단어를 언어로 의미 획득하는 과정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내용(Neural representation of visual concepts in people born blind)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저널'에 게재됐다.

 

    코메디닷컴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