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으면 고통·스트레스 줄어든다

 

“세상에서 가장 심하게 고통받는 동물이 웃음을 발명했다.”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의 말마따나 사람처럼 환하게 웃을 수 있는 동물은 없다. TV나 동물원에서 원숭이가 헤벌쭉하거나 킥킥대는 모습을 볼 수 있지만 웃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무엇인가 두려울 때의 표정. 원숭이는 입을 씰룩대면서 친밀감을 표시할 뿐, 사람처럼 즐겁게 웃지 못한다.

수년 전 미국 보울링그린대 연구팀은 쥐가 즐거울 때 높은 음조로 찍찍대는 것을 발견, ‘뉴사이언티스트’지에 발표했지만 이것도 웃음이라고 볼 수는 없다.

요즘 과학자들은 사람만 갖고 있는 이 웃음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있다. 미국에선 과학자들이 웃음과 건강에 대한 연구를 쏟아내고 있으며 병원들은 웃음을 질병치료의 수단으로 쓰고 있다. ‘하루 한번 실컷 웃으면 의사를 멀리 할 수 있다’는 속담이 사실로 입증되고 있는 것. 일부러라도 웃기 시작하면 삶이 달라진다.

 

 

 

◎ 웃음의 메커니즘

사람이 어떤 방식으로 웃게 되는지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다.

과학자들은 왼쪽 이마엽(전두엽·前頭葉)의 아래와 뇌중간 윗부분이 겹치는 영역이 웃음을 관할한다고 본다.

이 부분은 이성적 판단을 주관하는 이마엽과 감정을 맡는 변연계가 만나는 곳. ‘A10영역’이라 불리며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많은 신경세포들로 빼곡히 차있다.

미국 UC샌프란시스코 연구팀은 16세 소녀의 왼쪽 전두엽을 전기로 자극했더니 약한 전류에선 미소를 지었으며 강한 전류에선 깔깔 웃으며 쾌활하게 행동했다고 ‘네이처’지에 발표.

 

 

 

◎ 웃음은 보약(補藥)보다 낫다

웃음은 일종의 유스트레스(Eustress·좋은 스트레스).

웃을 때는 얼굴에 있는 15개의 근육이 움직이며 특히 포복절도할 때엔 신체 내부기관이 진동하면서 혈액순환이 잘 된다. 호흡량도 늘어난다. 스탠포드대 윌리엄 프라이박사는 “20분 동안 웃는 것은 3분 동안 격렬하게 노 젓는 것과 운동량이 비슷하다”고 했다.

웃고 나서는 몸이 쫙 풀리면서 적대감 분노 등이 누그러진다. 과학자들은 웃고나면 면역력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미국 로마린다의대 리 버크교수와 웨스틴뉴잉글랜드대 캐슬린 딜런박사 등은 사람들이 코미디프로그램을 보고나면 우리 몸의 군대격인 백혈구면역글리불린은 많아지고 면역을 억제하는 코르티졸과 에프네피린이 줄어드는 현상을 발견했다.

또 웃는 동안 뇌에서 엔돌핀엔케팔린(그리스어로 ‘머리 안에’라는 뜻) 등의 물질이 나와 고통이 줄어들고 스트레스가 풀린다는 것도 확인됐다.

웃음은 일의 효율도 높인다. 미국에선 IBM이 매년 뉴욕에서 열리는 중역회의 때 존 모리얼이라는 유머컨설턴트를 초청해 강연을 듣는 등 기업들이 웃음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애쓰고 있다.

그렇다면 억지로 웃는 것도 효과가 있을까? 미국 UC샌프란시스코의 폴 에크먼박사는 “사람이 특정한 감정표현을 흉내내면 몸도 거기에 따른 생리적 유형을 띤다”면서 일부러라도 웃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강조.

 

 

 

◎ 웃음은 질병의 보조치료제

UCLA 교수였던 고 노먼 커즌즈박사가 1979년 강직성척추염에 걸렸다 회복되고 나서 ‘병의 해부’라는 책을 발간했다.

그는 웃음을 비롯한 긍정적 사고가 질병을 치유하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했고 곳곳에서 이를 입증하는 연구들이 뒤따랐다.

미국에선 듀크대종합암센터 뉴욕향군병원 버몬트메디컬센터 등 수많은 병원에서 유머도서실과 유머이동문고 등을 운영하고 있다. 뉴욕의 콜럼비아장로교병원에선 코미디치료단까지 발족했고 하버드대에선 ‘유머치료’를 주제로 대규모 심포지엄도 열렸다.

우리나라에선 유머치료를 도입한 병원은 없지만 가정에 중환자가 있을 경우 재미있는 얘기를 들려주고 즐거운 비디오를 보여주는 것이 좋다.

 

 

 

◎ 건강하려면 웃음을 내 것으로

▽매일 아침 거울을 보면서 웃는 표정을 연습한다=우리나라 사람은 웃음에 인색하기로 유명하다. 외국에선 동양인 중 인상쓰고 있는 사람의 국적을 따져보면 대부분 한국인이라는 말도 있다. 문화적 요인에다 즐거운 일이 별로 없는 요즘 주위환경이 웃음을 달아나게 만들지만 잘 웃는 사람은 고통도 비교적 즐겁게 받아들인다.

▽이때 ‘나는 세상의 중심이 아니다’고 세 번 되풀이해 말한다=모든 짐을 지고 가는 사람은 웃을 여유가 없다. 여유가 있어야 즐거울 수 있다.

집 환경을 밝게 꾸민다=우중충한 그림이나 사진 대신 귀여운 아이동물의 사진을 걸어놓는다. 또 거실이나 침실에 ‘코믹코너’를 설치하는 것도 방법.

▽우습거나 즐거운 장면을 연상한다=자꾸 웃다보면 웃음이 제것이 된다.

웃기는 영화드라마 유머책 등을 자주 본다=필요하다면 메모해서 주위에 얘기한다. 웃음은 ‘유대 강화 효과’를 갖는다. 남을 웃기면서 자기도 즐거워진다. 그러나 특정인을 빗대 모욕하는 웃음은 그 사람에게 ‘소외효과’를 주고 자신에게 되돌아오므로 피한다.

▽아이를 즐겁게 하거나 간지럽힌다=아이들의 웃음은 그 자체가 기쁨. 따라 웃지 않을 수 없다.

코믹하게 사는 것도 방법=때때로 자신을 ‘코미디’의 주연이나 조연으로 여겨라. 실수도 즐겁게 받아들일 수 있다.

 

 

 

◎ ‘슬플 때 잘 울어도 건강해진다.’

미국 보건과학센터의 조지 거서리박사는 “웃음 만큼 울음도 잠재적으로 몸과 마음을 이완시켜 혈압을 낮추고 긴장을 줄인다”고 설명한다.

미국에선 동맥경화 환자 중 소리내 우는 사람은 눈물을 흘리지 않고 우는 사람에 비해 심장마비를 일으킬 가능성이 적다는 연구결과도 나왔다. 슬픔을 삭이는 사람보다는 훨씬 더 가능성이 적다는 것.

우는 과정에서도 스트레스가 해소된다. 스트레스는 15세기에 처음 사용된 공학용어로 ‘압력’ ‘물리적 압박’ 등의 뜻. 이 압력이 울음이라는 격렬한 과정을 통해 풀리는 것.

울 때 나오는 눈물은 스트레스의 결과로 만들어진 독성 화학물질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자가 남자보다 잘 우는 것은 프로락틴이란 호르몬이 남자에 비해 많기 때문.

우리나라에서도 의사들은 “슬플 때 울지 못하면 우리 몸의 다른 장기가 대신 운다”고 말한다. 정신과 의사들은 환자가 눈물을 보이려고 하면 목 놓아 울라고 권장하기도 한다.

의학적으로 우리의 ‘곡(哭) 풍습’은 상주나 곡쟁이의 한이나 슬픔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구실도 했다.

 

    코메디닷컴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