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라색 소변, 혈압 이상…신장질환 위험 신호
고령화 시대에 고혈압과 당뇨 등 신장질환의 위험 요인이 늘어나면서 환자 수 역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신장 질환은 초기에 아무런 증상이 없어 인지하기 어려운 데다 치료시기를 놓치면 투석이나 신장이식을 해야 할 수도 있는 만큼 경계를 늦추면 안 된다.
고혈압과 당뇨 같은 기저질환을 방치할 경우 신장 기능이 점차 떨어져 말기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처방받은 약을 꾸준히 복용하면서 수시로 혈압과 혈당 수치를 점검해 고혈압과 당뇨병을 잘 조절하는 것이 신장 건강을 지키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신장 기능이 나쁘다면 약물 복용도 조심해야 한다. 종합감기약이나 근육통약에 흔히 포함되는 진통소염제나 감염증에 사용하는 항생제 중에서도 일부 약제에 신독성이 있고, CT 같은 검사에 사용하는 조영제 역시 신장 기능에 무리를 줄 수 있다. 신장 기능이 크게 떨어졌다면 이 같은 약물을 사용하기 전 주치의와 상의해야 한다.
신장은 정상 기능의 50% 이상 감소해도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때문에 정기검진이 매우 중요하다. 소변검사 시 단백뇨가 있거나 혈액검사 시 사구체 여과율 감소 소견이 보인다면 반드시 신장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이 외에도 간장색 혹은 콜라색 소변(육안적 혈뇨)이 나오거나, 소변에 거품이 갑자기 많아지며 몸이 붓는 경우(신증후군), 혹은 잘 조절되던 혈압이 갑자기 심하게 높아지며 조절되지 않을 때(신부전 악화)에도 반드시 신장내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장내과 장태익 교수는 “급성신부전은 혈액투석을 진행하다 신장 기능이 회복되면 중단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하지만 대부분 만성신부전이 악화한 경우로 신장이식을 하지 않는 한 영구적 투석이 필요하다.”며 “요즘은 일주일에 세 번 병원을 방문해 투석하는 혈액투석 외에도 집에서 투석을 진행하며 1~3개월마다 외래 방문만 하는 복막투석 등 투석 방법이 다양해 너무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오히려 평생 투석하는 것에 대한 부담과 두려움으로 투석 치료를 거부하거나 계속 미루다 폐 또는 심장에 물이 차는 등 위험한 상황에 이를 수 있다. 적절한 시점에 투석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더 중요하겠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