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삶은? '홈루덴스' '홈코노미'의 일상화

[사진=Iryna Imago/gettyiamgesbank]
현재를 사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포노 사피엔스'다. 스마트폰이 없으면 생활이 불편하고 불안하다.

포노 사피엔스(Phono Sapiens)는 스마트폰 없는 생활이 불가능한 신인류를 의미한다. 스마트폰이 처음 등장했을 땐 젊은 세대만을 칭하는 용어였지만, 지금은 거의 모든 사람들이 스마트폰에 의존하며 사는 포노 사피엔스가 됐다.

2020년 5월 기준 국내 이동전화 가입 건수는 6700만 건이다. 스마트폰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선수옥 SNS 소통연구소 서초구 지국장은 20일 대한공공의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100만 명 이상이 사용하면 패션, 500만 명 이상 쓰면 트렌드, 1000만 명 이상 쓰면 문화"라며 "스마트폰은 문화를 넘어선 수준"이라고 말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비대면 문화가 일상에 자리하면서 스마트기기를 비롯한 비대면 수단의 역할은 더욱 커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연초 코로나19 감염 확산 우려로, 중3과 고3을 시작으로 온라인 개학을 하면서 원격수업의 첫 걸음도 뗐다. 이 과정에서 불안정한 서버 등의 문제는 있었지만, 전문가들은 지금이 새로운 교육 방식에 대한 논의를 해야 할 때라고 보고 있다.

코로나19가 종식돼도, 비대면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양상을 되돌릴 수 없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제는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는 세대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수준을 넘어서야 한다. 스마트기기를 현명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데 보다 집중해야 할 때라는 것. 스마트폰은 '오장칠부'라고 칭할 정도로, 신체의 일부처럼 사용되고 있는 만큼 문제를 지적하는 수준에 머물러선 안 된다.

비대면 시대를 대비하지 않으면 디지털 문맹을 겪고 있는 시니어들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더 큰 소통의 어려움을 경험할 수도 있다. 선수옥 지국장은 "불편은 '불통'이 되고, 그 다음 '먹통'이 된다"고 말했다.

즉, 온택트 시대에 포노 사피엔스로서 지혜롭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스마트폰으로 무수히 많은 일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화를 받고 거는 용도로만 사용한다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적응하고 살아가기에 더욱 힘들 수밖에 없다.

이미 스마트기기는 1인 방송 크리에이터 등 새로운 비즈니스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했고, 다양한 소통 창구와 취미 생활을 제공하기도 했다.

집밖을 나가지 않고 혼자 취미생활을 하는 '홈 루덴스(Home Ludens)', 집에서 경제활동까지 하는 '홈코노미' 등의 등장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인 방송이나 동영상 스트리밍 보기는 요즘 사람들의 가장 흔한 취미다. 지난 12일 유튜브 서버장애가 발생했을 때, 포털사이트의 모든 실시간 검색어가 유튜브로 도배될 정도로 이에 의존하는 사람들이 늘었다. 넷플릭스 사용자도 계속 증가하고 있고, 곧 디즈니플러스도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취미생활뿐 아니라 일하는 방식도 크게 변화하고 있다. 선수옥 지국장은 "오피스 공간 혁신의 필요성을 많은 사람들이 느끼고 있다"며 "기업 입장에서도 비용 절감 등을 고려해, 코로나 이후 오피스 문화는 변화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비대면, 온라인, 무인화시대로의 변화는 이제 모든 분야에서 필연적이라는 것.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스마트워크의 도입이 빨라진 만큼 변화하는 노동환경을 거부하기보단 적극 대처해야 할 때다. 이로 인해 일과 휴식의 경계가 무너지는 등 여러 부작용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와 기업 차원, 또 각 개인 차원에서 대비 역시 필요하다.

    문세영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