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혈모세포이식, 항원 일치하는 기증자 못 찾으면?
조혈모세포는 새로운 피를 만드는 기초가 되는 줄기세포다. 골수에서 만들어져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으로 분화된다. 그런데 백혈병이나 심각한 빈혈에 걸리면 제대로 된 피가 만들어질 수 없으므로 제조 시스템을 갈아줘야 한다. 백혈병의 경우 항암제로 기존 조혈모세포와 암세포를 모두 죽여 없애고 건강한 조혈모세포를 이식하는 방식으로 치료한다.
예전에는 조혈모세포들이 있는 골수를 이식한다고 해서 골수이식이라고 불렀지만, 지금은 조혈모세포이식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명칭은 국내 처음으로 골수이식에 성공한 의사이자 시인인 김춘추 전 가톨릭대 의대 혈액내과 교수가 붙였다.
조혈모세포 이식은 피의 씨를 말리다시피한 뒤, 새 것을 넣기 때문에 면역반응으로 인해 환자의 생명이 위험해질 수 있다. 따라서 피아를 구분하는 견장과도 같은 사람백혈구항원(HLA) 8개가 일치하는 조혈모세포를 찾아 이식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 조혈모세포이식에는 환자 자신의 조혈모세포를 이식하는 방법(자가조혈모세포이식)과 타인의 세포를 이식하는 방법(동종조혈모세포이식) 두 가지가 있다.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의 경우 항원이 일치하는 기증자를 찾아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100% 똑같은 조혈모세포를 찾기란 쉽지 않다. 매년 조혈모세포가 같은 기증자를 찾을 확률은 10% 남짓. 해외의 혈액은행이나 골수은행에서 구할 수도 있지만 오래 걸리고 5000만 원 이상의 추가비용이 들어간다.
부모, 자녀나 형제 가운데 HLA가 4~6개 일치하는 ‘반일치 혈연조혈모세포’ 이식이 대안으로 떠올랐다. 국내 주요 병원에서 앞 다퉈 시행했지만, 일부에서 효과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이 때문에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았다. 과연 ‘반일치 이식’이 효과가 있는 걸까?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하 보의연)은 2018년 11월 대한소아혈액종양학회,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등의 전문가들과 한국혈액암협회, 한국환자단체연합회, 한국백혈병환우회 등 환자단체 대표가 참여한 원탁회의(NECA 공명)를 열어 이 문제를 논의했다.
서울대 의대 소아청소년과(혈액종양) 강형진 교수의 ‘반일치 이식의 개념 및 소아환자 반일치이식의 성과분석,’ 보의연 신상진 연구위원의 ‘국내기증자 조혈모세포이식과 해외기증자 이식의 성적비교,’ 서울대 의대 혈액종양내과 고영일 교수의 ‘성인환자 반일치이식과 해외기증자이식의 성적비교’ 등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발표 내용에 따르면, 국내 반일치 혈연이식을 받은 121명과 해외 기증자를 통해 이식을 받은 55명을 비교한 결과 생존율, 재발률, 부작용 등에서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 소아환자 34명의 2년 생존율이 85%로 해외 기증자 이식 평균 40~73%에 비해 오히려 높았다. 참석자들은 이를 바탕으로 반일치 혈연이식이 해외 기증자 이식과 효과가 비슷하다고 판단, 완전일치 기증자를 찾기 어려울 경우 반일치 혈연이식을 대안으로 고려할 수 있다고 합의하였다.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해외에서처럼 반일치 혈연이식의 사례와 연구 건수가 많지 않다. 그러나 현재 보의연에서는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와 함께 반일치 혈연이식의 치료 성적에 대한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어 앞으로 이식대상 환자들과 의료진들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코메디닷컴과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질환별 치료법에 관한 궁금증을 풀어드립니다. 국민 건강과 밀접한 의료기술의 안전성, 유효성, 비용효과성을 평가한 연구 내용을 5회에 걸쳐 소개합니다. 다른 궁금증이 있다면 보건의료연구원(https://blog.naver.com/necahta)의 문을 노크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