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으로 승격한 질병관리청, 무엇이 달라지나
질병관리청이 보건복지부 소속기관이었던 질병관리본부에서 별도의 중앙행정기관으로 승격했다. 조직·인사·예산 등을 독립적으로 운영하게 될 질병관리청은 앞으로 어떠한 위상과 책임을 갖게 될까?
질병관리청은 감염병 총괄기구로서, 여러 소속기관과 인력을 기반으로 감염병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아울러 만성질환, 의료인공지능 등 국민건강안전 전반을 아우르는 행정기관으로 역할하게 된다.
기존의 907명에서 1476명으로 조직 규모를 확대하고, 1청장·1차장을 포함한 5국 3관 41과의 조직으로 운영된다.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 질병대응센터, 국립결핵병원, 국립검역소 등의 소속기관을 갖추고, 감염병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인력을 증원(384명)한다.
◆ 코로19 방역 대응 주력= 질병관리청은 감염병 대응을 위한 조직을 강화하고 인력을 보강해 코로나19 재확산을 막기 위한 방역 대응에 주력하게 된다.
중앙 및 지자체에 역학조사관 역량개발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중앙 100명 이상, 시도 및 시군구 168명 이상 정원을 확충해 코로나19 추가 확산을 막는다는 목표다.
또한, 신설된 감염병연구소에서는 임상연구, 백신개발 지원 등 감염병 전 주기 연구개발체계를 구축한다. 특히,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을 총력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연내 국산 치료제(혈장치료제 등)를 확보하고 내년에는 국산백신 확보를 목표로 한다.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제주 출장소 포함), 경북권, 경남권 등 5개 권역에 설치되는 권역별 질병대응센터에서는 진단검사, 역학조사 등 지자체의 코로나 대응을 지원한다.
◆ 감염병 관리 체계 강화= 코로나19 이후에도 감염병 감시, 조사·분석, 위기대응, 예방 등 통합적인 감염병 관리가 가능하도록 체계를 강화한다.
민원상담(1339 콜센터) 기능을 종합상황실로 통합해 감염병 유입과 발생 동향을 24시간 감시하고, 대응한다. 또한, 신설되는 위기대응분석관에서는 역학데이터 등 감염병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유행 예측 기능을 강화한다. 확충된 역학조사관은 전문성과 방역 역량을 갖추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백신수급·안전 관리, 의료감염 감시, 항생제 내성 관리 기능도 강화한다. 이를 위해 백신수급과와 항생제내성관리과를 신설하고, 의료감염관리과 인력을 증원한다.
아울러, 국립결핵병원(마산, 목포)이 질병청 소속으로 이관돼 결핵퇴치를 위한 기반을 갖추게 된다. 다제내성 결핵 등 치료가 어려운 결핵환자의 진료 등 의료서비스와 임상연구도 활성화된다.
◆ 만성질환, 기후변화, 미세먼지 등 대응= 일상에서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만성질환, 기후변화처럼 예견된 위협, 희귀질환과 같은 사각지대 질병에 대한 예방·관리도 강화한다.
신설되는 건강위해대응관은 폭염‧한파, 미세먼지, 손상 등 생활 속 건강위해요인 예방사업을 추진하고, 원인불명의 질병이 발생했을 때 분석·대응한다.
◆ 미래의료분야 연구 강화= 질병관리청 소속 국립보건연구원은 바이오 빅데이터, 의료인공지능 등 정밀의료시대를 위한 연구 기능과 신장질환 등 맞춤형 질환 연구 기능도 대폭 강화한다.
100만 명 규모의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질환별 원인 규명과 유전체에 기반을 둔 신약 개발 등의 연구에 활용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