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병 없이 시야가 좁아졌다면? 뇌하수체 종양 탓
눈이 잘 보이지 않는다면 보통 눈병을 의심하게 된다. 그런데 뇌 건강에 문제가 있어도 시야가 흐려질 수 있다.
강동경희대병원 안과 강자헌‧김태기 교수팀에 따르면 뇌 질환이 시야를 좁힐 수 있다. 뇌하수체 종양이 커지면서 시신경교차 부위를 압박하기 때문이다.
국제학술지 '안과학(International Ophthalmology)'에 게재된 이번 연구에 의하면 뇌하수체 종양으로 병원을 처음 방문한 환자의 가장 흔한 증상은 두통(26.2%), 유즙분비‧생리불순(17.0%), 말단비대증상(13.7%) 순이다. 시력 저하가 차지하는 비율도 12.4%로 적지 않다.
김태기 교수는 "뇌하수체는 직경 약 1.5cm의 구조물로, 시신경이 눈 뒤쪽으로 들어가서 만나는 부위(시신경교차)와 뇌의 한가운데가 만나는 곳에 있다"며 "해부학적 위치 때문에 종양이 커지면 가장 먼저 시신경교차 부위를 압박해 시력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연구에 의하면 뇌하수체 종양 환자 중 54.4%가 뇌자기공명영상(MRI)을 통해 시신경 교차 부위 압박이 관찰됐고, 시야 정밀검사 결과 43%가 시야 이상을 보였다. 뇌하수체 종양의 부피가 증가할수록 시력 저하 및 시야 결손의 정도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악화됐다.
단순 시력 저하인 줄 알고 안과에 방문했다가 뇌하수체 종양을 진단 받는 경우도 있다. 강자헌·김태기 교수팀에 따르면 안과를 우선적으로 방문한 뇌하수체 종양 환자의 84.2%가 시력 저하를 호소했다. 김태기 교수는 "노인성 백내장 수술 후에도 시력 저하가 지속돼 정밀 시야검사 후 뇌하수체 종양 진단을 받은 증례가 있다"며 "눈이 침침한 증상이 있으면 안과를 방문해 검진 받고, 백내장이나 녹내장 등 시력이 떨어질 만한 다른 확실한 원인이 없다면 정밀검사를 통해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뇌하수체종양은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주느냐에 따라 비기능성 종양과 기능성 종양으로 나뉜다. 이 중 비기능성 종양일 때 시야가 양쪽 끝부터 좁아지는 시야 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 정면은 잘 보이는데 양옆을 가린 것처럼 서서히 시야가 좁아져 눈치 채기 쉽지 않다. 방치하면 실명까지 갈 수 있어 시신경 압박이 심해지기 전 치료하는 것이 좋다.
시력 저하 및 시야 결손은 뇌하수체 종양 치료 후 호전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치료는 생각보다 간단하다. 뇌종양은 일반적으로 두개골을 열어 수술할 것 같지만 콧속으로 내시경을 넣어 흉터 없이 종양을 제거할 수 있다. '내시경 뇌수술(Endoscopic neurosurgery)'로 최소 침습적 수술이 가능하다는 것.
내시경 수술은 4mm 두께의 얇은 카메라가 파노라믹 뷰로 시야를 확보해 종양까지 접근, 깔끔하게 제거하므로 재발률이 낮다. 양쪽 콧구멍을 통해 내시경과 수술 도구가 들어가기 때문에 외관 흉터가 생기지 않고, 2~3시간 안에 수술할 수 있다. 강동경희대병원 신경외과 이승환 교수는 "수술 후 출혈과 통증이 적어 입원기간이 많이 단축됐다"며 "하지만 미세한 조작이 요구되는 고난도 수술이기 때문에 내시경 수술을 전문으로 하고 경험이 많은 전문의에게 수술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