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갑상선암
정의
목 앞쪽에 있는 갑상선 옆에 위치한 완두콩 크기의 두 쌍의 샘인 부갑상선에서 발생하는 매우 드문 암입니다.
부갑상선은 부갑상선 호르몬(PTH)을 만들며 혈청 칼슘과 인의 대사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부갑상선 호르몬은 뼈에서 칼슘을 유리시키고, 장에서 음식으로부터 칼슘 흡수를 촉진시키며 신장에서 소변으로 칼슘을 내보내지 않도록 하여 혈중 칼슘농도를 정상범위로 유지시키는 일을 합니다.
원인
부갑상선암의 원인은 아직까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는데 현재까지 알려진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족형 부갑상선기능항진증
-상염색체 우성가족형 부갑상선기능항진증이 동반되면 부갑상선암이 발병하는 경우가 전체 부갑상선암의 약 2%를 차지하고 있어 이 질환을 부갑상선암의 위험요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양성 부갑상선 질환
●두경부 방사선 치료나 피폭
- 방사선에 피폭된 후 5-35년 사이에 부갑상선암이 발생한 예가 있어서 위험 요인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말기 신질환
-투석 중인 말기 신질환 환자들에게서 부갑상선암이 발병하기도 합니다.
증상
고칼슘혈증 : 핏속에 칼슘이 많이 녹아 있어 다음과 같은 증상이 생깁니다
-소변량 많아짐, 힘이 빠짐. 밥맛 떨어짐. 토하고 싶거나 올리는 느낌, 살 빠짐, 배 아픔, 빈혈, 부정맥, 췌장염
저인산혈증 : 핏속에 인산이 적게 나타납니다
신장관련 병 : 요로 결석
뼈와 관련된 증상 : 뼈나 관절의 통증 등이 있습니다
종류
부갑상선암은 기능성 부갑상선암과 비기능성 부갑상선암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기능성 부갑상선암은 부갑상선에서 생성되는 부갑상선호르몬에 의해 고칼슘혈증이 초래되는 원발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부갑상선 호르몬의 과다 분비에 의하여 야기되는 만성 질환으로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보이지 않아 대부분의 환자에게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는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을 동반하는 경우이며, 비기능성 부갑상선암은 암 때문에 호르몬 생성이 되지 않아 호르몬이 기능을 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부갑상선암의 대부분은 기능성 부갑상선암이며, 비기능성 부갑상선암은 모든 부갑상선암의 약 2% 정도만을 차지하는 드문 질환입니다.
부갑상선암의 경우 종양이 촉지되는 경우가 45-50%이나 선종의 경우에는 10%미만으로 드물어 고칼슘혈증이 있고 촉지되는 종물(경부에 만져지는 덩어리)이 있으면 일단 부갑상선 암을 의심하여야 합니다. 증상은 주로 고칼슘혈증과 그 합병증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부갑상선 암과 선종 간에 별 차이가 없으나, 기능성 부갑상선암은 선종보다 혈청 칼슘치가 현저하게 높으므로 이러한 증상이나 합병증이 더 많이 나타납니다.
진단
치료
수술로 종양이 제거될 때까지 혈중 칼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약을 복용하게 됩니다.
일부 의료기관에서는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합니다.
부갑상선암은 흔히 림프절, 폐, 뼈 그리고 간으로 전이가 잘 됩니다.
전이된 부갑상선암이 있는 환자들은 수술, 방사선, 화학요법을 병합하여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외과적 치료가 어려우면 파미드로네이트, 칼시토닌, 에스트로겐 등의 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부갑상선암을 진단받은 경우에는 이뇨제, 리튬 등의 칼슘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약제 복용에 주의해야 하며, 탈수, 고칼슘섭취 등을 피하도록 합니다. 장기적인 침상 안정이나 비활동으로 인해 골 흡수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 육체 활동을 증가시키기를 권장합니다.
합병증
예방
부갑상선암 환자들은 일상 생활에서 고칼슘혈증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피해야 합니다.
●칼슘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약제의 복용 주의-Thiazide(티아지드)계 이뇨제, 리튬 등이 있습니다.
●탈수 주의-소변으로의 칼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루 최소 6-8잔의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칼슘섭취 주의-칼슘섭취는 하루 1000mg 정도의 중증도가 좋습니다. 칼슘 섭취가 적으면 부갑상산호르몬의 분비가 자극되어 대사성 골 질환이 악화될 수 있으며 반면 칼슘을 너무 많이 섭취하면 고칼슘 혈증이나 고칼슘 뇨증이 악화되고 신장 결석 등의 문제가 증가될 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침상 안정, 비활동(inactivity) 주의 -장기적인 침상 안정이나 비활동에 의한 골 흡수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 육체 활동을 증가시키기를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