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 빌레브란트 병

정의

핀란드 내과의사인 에릭 폰 빌레브란트(erik von willebrand)가 1926년에 처음 확인했습니다. 출혈이 주요 증상인 유전성 혈액 응고병입니다. 원인은 폰 빌레브란트 인자(von willebrand factorprotein)와 제8 응고인자(factor Ⅷprotein)의 결핍 때문입니다. 또한 폰 빌레브란트 인자 다합체(multimer)의 수적 또는 양적 이상으로 혈소판 기능도 저하돼 혈액 응고에 더욱 이상을 초래합니다.

 

상염색체 우성이나 열성 형질로 유전하며 남녀 모두에게 발생합니다. 대략 1만 명당 1명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고 가장 흔한 출혈병입니다. 병이 약할 때는 평상시에는 별 문제가 없다가 다치거나 수술을 받은 후에 출혈이 과다해 진단되는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 환자 중 증상이 약하면 진단되지 않고 지내는 수가 있으므로 많게는 인구의 1%가 병을 갖고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원인

유형 I과 유형 II의일부 어떤 형태는 상염색체 우성 형질로 유전됩니다. 우성 유전되는 병의 일부는 뚜렷한 이유 없이 일어나는유전적 돌연변이로부터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부모가 결함 있는 유전자를 갖고 있는 것도 아니고이전에 가계력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유형 III과 유형 II의어떤 타입은 상염색체 열성 형질로 유전됩니다. 연구자는 일부 케이스가12번 염색체의 단완(12p13.3)에 위치하는 유전자의 파괴나 변화(돌연변이) 때문에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혈소판의 응고 부전과 함께 폰 빌레브란트 인자와 제8인자의 생산이감소해 혈액 응고가 잘 안 되므로 지혈이 어렵습니다.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양적 변화에 따라 크게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고, 제2형은 이 인자의 질적 변화로또 4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부는 열성 형질로 유전되며증상이 우성으로 유전될 때보다 더 심각하다고 알려졌습니다.

증상

증상은 환자마다 심지어 같은 가족의 구성원 사이에서도 다양합니다. 일부개인은 증상을 나타내지 않거나 매우 약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혈우병과 마찬가지로 응고인자가부족해 지혈이 잘 되지 않아 작은 외부 충격에도 쉽게 멍이 들고, 한 번 생긴 멍은 오랫동안 사라지지않습니다.

 

정상인은 주삿바늘 자국이나 치과 치료 등 인공적인 외상으로 출혈이 된 자리가 몇 분간 눌러주면 대부분 간단하게지혈되지만 병이 있다면 쉽게 지혈이 되지 않아 지혈 시간이 몇 배 이상 길어집니다.

 

환자는 주로 소화기계와 코 안에 출혈이 생깁니다. 그러므로 대변을검사하면 잠혈 반응이 양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특별한 이유 없이 코피를 자주 흘립니다. 멍이 쉽게생기므로 피부에 멍든 자국이 비교적 많고 외상이나 수술, 월경, 출산으로과다 출혈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여성은 병 진단을 하지 못하면 자궁절제술 같은 부적절한 치료를 하게 될 수 있습니다. 관절 내출혈의 발생은 아주 드물기 때문에 혈우병과 달리 관절 내출혈에 의한 관절의 기형이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없습니다.

 

콩팥 질병이나 백혈병, 판막기형을 동반하는 선천성 심장병과 함께발병하기도 합니다. 세 개의 주요 유형(유형 I, 유형 II, 유형 III)으로분리합니다. 유형 I은 가장 가볍고 가장 흔한 형태로 대략 70~80%를 차지합니다. 이것은 폰 빌레브란트 인자와 일부 케이스에서의제8응고 인자의 비정상적인 낮은 농도가 특징입니다.

 

유형 II를 가진 개인은 본 빌레브란트 인자는 결함이 있거나정상적으로 기능을 하지 못합니다. 유형 II는 20~25% 정도입니다. 유형 II는여러 개의 작은 그룹으로 다시 나눌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두 개는 유형 IIa 와 IIb입니다. 유형 IIa에서 폰 빌레브란트 인자는 함께 응집하는 혈소판의 능력이 감소해 혈소판에 똑바로 묶이지 못합니다. 유형 IIb에서 함께 응집하는 혈소판의 능력은 혈류와 상처 부위가아닌 곳에서 함께 응집하는 혈소판을 일으키면서 증가합니다.

 

혈소판의 응집은 혈소판의 부족이 일어난 몸으로부터 분명하게 됩니다. 유형 III은 더욱 심각한 형태입니다. 이 형태를 가진 개인은 폰 빌레브란트인자가 거의 완전하게 결여돼 있습니다. 제8인자 농도는 10% 이하입니다. 유형 III을가진 개인은 근육이나 관절 안에 내부 출혈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남녀 모두에게서 발생하기 때문에 남성에게서만 발생하는 전통적인 혈우병과 구별됩니다. 혈우병 환자들은 폰 빌레브란트 인자 단백질 수치는 정상이나 제8 응고인자단백질은 결핍돼 있고 혈소판의 문제는 없습니다.

진단

특히 병이 심하지 않을 때 진단을 내리기가 쉽지 않은데 몇 번의 반복검사가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출혈과 관련된 증상이 있을 때 가계력과 신체검사와 더불어 정밀 진단 병리검사를 종합해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혈액검사를 이용해 출혈 시간(bleeding time), 제8인자, 폰 빌레브란트 인자[procoagulant(vWF:Ag)와 ristocetin cofactor(vWF:RCo)], 폰 빌레브란트 인자 다합체, 혈소판 기능 검사 등을 통해 각 항응고인자의 부족이나 기능 이상 여부 등을 관찰해 확진할 수 있습니다.

 

폰 빌레브란트 인자는 임신, 감염, 심한 운동, 피임약의 복용 등으로 검사치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반복 검사를 통해 확진이 이루어집니다. 심각한 개인은 보통 유아기 동안에 진단할 수 있습니다. 심하지 않으면 성인까지 진단하지 못할 수 있고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여성은 과다한 월경의 혈류에 대한 부적절한 치료(예, 자궁절제술)를 피하기 위해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치료

치료는 유형과 병의 심각성에 따라 다양합니다. 심하지 않은 형태를가진 일부 개인은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ㆍ약물치료

심하지 않다면 출혈을 치료하기 위해 뇌하수체 호르몬제인 데스모프레신(desmopressinAcetate: DDAVPⓡ-항이뇨 호르몬인 바소프레신(vasopressin)의 합성 유도체)을 주사하거나 코로 흡입(nasal spray), 또는 먹입니다. 데스모프레신을 투여하면 제8인자와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혈중 농도가수시간 동안 증가하므로 지연된 혈액 응고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중등도라면 수술 중이나 후에 지혈을 위해 데스모프레신을 사용하기도 합니다.중증으로 지혈이 잘 되지 않는다면 멸균 건조된 항혈우병 인자와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복합체(예, humate-Pⓡ, alphanateⓡ)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제품을 사용할 때는 정맥혈전이 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aminocaproric acid(amicarⓡ) 같은 항섬유소용해제(antifibrinolyticdrug)가 출혈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약은 보통 손상이나 수술 뒤의 출혈 치료에사용합니다.

 

ㆍ동결침전제제

신선 동결 혈장을 녹이면 하얀색 침전이 생기는데 이것을 동결침전제제(Cryoprecipitates,동결 혈액 제제)라고 하며 이 동결침전제제에는 혈액 응고 인자들이 많이 들어 있어 지혈을위해 사용하기도 하는데, 병원균이 전파될 수 있으므로 꼭 필요한 경우에 제한적으로 투여해야 합니다.

질환 관리법

환자들에게는 자신이 이러한 혈액 응고 장애로 출혈 시 위험하고 응급 상황에는 데스모프레신, 동결침전제제 등의 치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신분증이나 팔찌 등이 필요합니다. 호르몬은 혈액에서 폰 빌레브란트 인자와 제8인자의 농도를 증가시키기때문에 먹는 피임약은 과다한 월경 출혈이 있는 여성을 도울 수 있습니다.

 

과다한 출혈을 예방하는 치료는 임신한 여성과 임신하지 않은 여성을 위해 필요합니다. 그러나 합병증은 치료를 했어도 여전히 일어날 수 있습니다. 환자들은혈액 응고를 방해하는 아스피린 같은 약을 피해야 하고, 럭비 같은 접촉이 많은 운동은 외상이 생길 확률이높기 때문에 피해야 합니다. 가족과 환자를 위해 유전상담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유전상담

유전상담이란 유전병을 앓고 있는 환자와 가족에게 해당 유전병이 무엇인지,질환의 증상과 진행 과정, 어떻게 유전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담입니다. 유전상담을 통해 유전학 전문가로부터 질환과 관련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자와 가족들이 가장 적절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습니다.

    코메디닷컴 관리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