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운동신경병

정의

유전운동신경병(HMN)은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운동 신경에손상이 발생한 것으로, 임상 양상이 다양하며 유전자 변이의 종류에 따라 7개의 아형으로 분류됩니다. 지금까지 발견된 원인 유전자 중 대부분은 RNA 대사, 유전정보 번역, 스트레스에대한 반응, 세포사멸(aoptosis)과 같은 생체 관리(housekeeping) 기능에 관여하며 나머지 유전자들은 생존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생산하는 경우였습니다. 높은 대사율이 필요한 운동 신경의 경우는 이러한 관리 단백질의 손상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이것이 발병 원인이라고봅니다.

원인

유전성 원위부(기준이 되는 부위에서 먼 쪽) 운동 신경병증에 대해 13개의 유전자좌와 7개의 질환 관련 유전자들이 발견되었습니다. 유전운동신경병 I형(HMN I), 유전운동신경병Ⅱ형(HMN Ⅱ), 유전운동신경병 V형(HMN Ⅴ), 유전운동신경병 VII형(HMN Ⅶ)은 상염색체 우성유전을 합니다.

 

상염색체 우성 유전질환은 양쪽 부모로부터 각각 물려받은 1쌍의유전자 중 어느 한 쪽이라도 질병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으면 그 유전자가 정상 유전자에 대해 우세하게 작용하여 질병이 나타납니다. 남녀 모두에게 같은 빈도로 발생하며, 부모 중 한 쪽만 정상일 경우다음 세대에 유전될 확률은 50%입니다. 유전운동신경병 III형(HMN Ⅲ), 유전운동신경병 IV형(HMN Ⅳ), 유전운동신경병VI형(HMN Ⅵ)은 상염색체 열성유전을 합니다.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은 각각의 부모로부터 질병 유전자를 하나씩 물려받았을 때 생깁니다. 만일 개인이 하나의 정상 유전자와 하나의 질환 유전자를 받았다면 그 사람은 그 질환의 보인자(Carrier)가 되나 질병의 증상은 대개 나타나지 않습니다. 부모가모두 보인자일 경우 아이에게 질병이 유전될 확률은 25%이며 그 아이가 부모처럼 보인자가 될 확률은 50%, 아이가 정상 유전자만 물려받아 유전적으로 정상일 확률은 25%입니다. 이 확률은 남녀 모두 동일합니다.

증상

말초 신경계의 운동성만이 관련됩니다. 척추의 근육위축을 보이거나유전운동감각신경병(HMSN, CMT)과 비슷한 임상 증상을 보입니다.

 

ㆍ유전운동신경병 I형(HMN I)

유전운동신경병 중 가장 흔한 유형으로, 하르딩(Harding)에 의해 보고되었으나 대가족이 발견되지 않아 원인 유전자 변이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극심하게 지연된 신경 전달 속도와 비대 미엘린이 이 질환의 기본 특징입니다.5세 이전에 발생하며 순수하게 심한 원위부 근육의 힘이 약해지고 근육이 위축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ㆍ유전운동신경병 II형(HMN II)

성인에게 발생하며 손과 발의 근육이 심하게 위축되고 손실되는 순수한 운동성 신경병증입니다. 유전성운동신경병 II형(HMNII)은 12q24.3의 HSP22 유전자 돌연변이에의해 해당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에 문제가 생겨 발생합니다.

 

ㆍ유전운동신경병 III형(HMN III)

11q13 유전자위의 이상으로 발생하며 척수의 일정 신경 세포가점진적으로 손상되어 진행성의 운동성 약화 및 사지 말단 근육의 위축을 보입니다.

 

ㆍ유전운동신경병 IV형(HMN IV)

드물게 나타나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입니다. 진행성으로 운동성이약화되고 특히 손과 발의 근육 위축이 나타나는데 11q13 유전자위의 이상으로 발생합니다.

 

ㆍ유전운동신경병 V형(HMN V)

척수 신경 세포에 영향을 주고 손과 발의 근육을 약화시키는 진행성 질환입니다. 보통 청소년기에 증상이 보이기 시작하는데 발병 연령은 유년기 후반에서 30대중반입니다. 초기에는 손떨림으로 시작하여 사지의 말단 근육 위축이 나타납니다. 11q12-q14 위치의 BSCL2 유전자 및 7p15 위치의 GARS 유전자 돌연변이로 발생합니다.

 

ㆍ유전운동신경병 VI형(HMN VI)

11q13.2-q13.4 위치의 IGHMBP2 유전자 돌연변이로 발생하며 척추 근육 위축과 근육 손실이 나타납니다.

 

ㆍ유전운동신경병 VII형(HMN VII)

발단 근육 위축과 성대 이상을 특징으로 합니다. 2q14 유전자위이상으로 운동 신경의 축삭 수송이 손상되어 발생합니다.

진단

임상증상, 전기생리학적 검사(신경전도검사및 근전도검사), 신경생검 및 유전자 검사를 근거로 하여 내립니다. 신경전도검사 상 감각신경은 정상이고 운동신경에서 이상 소견에 있으면서 유전적인 가족력이 있다면 유전운동신경병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신경생검과 유전자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발견되면 확진할 수 있습니다. 또한임상증상과 신경전도 검사, 신경생검 및 유전자검사 소견이 종합적으로 서로 연관성이 있어야 합니다.

 

유전운동감각신경병 환자들 중에 감각 신경 손상은 있지만 분명한 감각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 경우가 흔히 있기때문에 유전운동신경병(HMN)을 유전운동감각신경병(HMSN)과구분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유전운동신경병(HMN)을진단하기 위해서는 전기생리학적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치료

이전의 치료는 주로 재활치료, 보조기구, 통증 조절 등에 국한되었으나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견은 유전상담과 가족계획을 가능하게 했고, 이와 함께 과학적인 근거에 기반한 임상 치료의 시도는 점차 발전하고 있습니다.

 

ㆍ물리치료와 운동(Physical therapy and exercise)

재활 치료는 유전운동감각신경병(HMNS, CMT) 환자들에서삶의 질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유전운동감각신경병(HMSN,CMT) 환자들을 대상으로 최대근력의 30%로 12주간중등도 등척성 트레이닝을 실시했을 때 부작용 없이 근력이 4~20% 증가했음이 보고되는 등 좋은 재활프로그램을 수행한다면 아직 기능하고 있는 근육의 힘을 키우고 운동성을 향상시켜 관절 기형이나 넘어짐을 방지하고 손의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물리치료는 유전운동감각신경병(HMSN)에서 자세히 기술했으며유전운동신경병(HMN)에서의 물리치료는 유전운동감각신경병(HMSN)과동일하므로 참고하시면 됩니다.

 

․ 유전상담

가족과 환자를 위해 유전상담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며, 추가적인치료로는 증상의 완화를 목표로 하는 대증요법과 각종 부작용과 합병증을 조절하고 완화시키기 위해 지지요법(Supportivetherapy)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환자는 종종 신경과, 정신과, 정형외과, 유전학과, 물리치료과 전문의로 구성된 연합팀에 의해 진단되고 관리 받습니다. 때때로정형외과술이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코메디닷컴 관리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