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급성경화성범뇌염

정의

뇌의 염증을 동반하는 진행성 신경계 질병입니다. 대부분 홍역에걸린 지 2년에서 10년 후에 발병해 초기에는 기억력 감퇴, 자극과민성, 경련, 불수의적근육 운동, 행동 변화를 보이다가 신경계 퇴행에 이르게 됩니다.

 

홍역을 앓은 몇 년 후 홍역 바이러스의 재활동으로 뇌에 염증이 생기고, 신경섬유를싸고 있는 지방 조직의 소실되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 바이러스에 대한 비정상적인 면역 반응과연관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이 병에 걸린 환자들은2∼10년 전에 홍역을 앓았던 사람들입니다.

 

미국에서 홍역 백신의 보급으로, 아급성경화성범뇌염의 발병률은상당히 감소됐으나, 매년 약 10개의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저개발국에서는 이 병이 더 흔합니다. 예를 들어, 인도의 발병률은 매년 100만 명당 약 20으로 추정됩니다. 아급성경화성범뇌염은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 많이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인보다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원인

이 병의 원인은 느린 홍역 바이러스(slow measles virus)인파라믹소바이러스(paramyxovirus)로 알려져 있습니다. 느린바이러스(slow virus)란 수개월 내지 수년 동안 체내 잠복기를 거친 후 질병의 진행이 느린 바이러스를가리키는 말로, 주로 뇌 신경계를 침범하며 결국에는 사망에 이르게 합니다. 왜 바이러스가 활동을 다시 시작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으며, 어떤유전적인 소인이 이런 바이러스에 쉽게 감염되게 하는지도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이 병의 증상은 뇌염과 탈수초질병을 포함하며, 초기 질병을 앓고난 수년 후에 바이러스의 재발현으로 발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또 홍역바이러스(rubeola virus)에 대한 부적절한 면역 반응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전형적으로이 병에 걸린 사람들은 발병하기 2~10년 전에 홍역에 감염된 병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의학 논문에 실린 몇몇의 환자들은 동물과의 접촉으로 인해 질병이 발생된 것으로 보고 있는데, 그 이유는 그 환자들이 홍역으로 죽은 개나 고양이, 원숭이 등 애완용동물과 접촉한 적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홍역 예방주사를 접종하기 시작한 이후 이 병의 발생은 현저하게줄었으나, 성인보다는 어린이와 청소년, 여성보다는 남성의발병 빈도가 높습니다.

증상

이 병은 아동이나 젊은 성인들에게서 나타나는 드문 신경학적 질병입니다. 첫증상으로 아이가 학업에 지장을 받는다거나, 기억력이 떨어지고, 자극에과민한 반응을 보이며, 불수의적 근육 운동(간대성근경련; 근육이 갑작스럽게 불수의적으로 수축하는 것), 전신경련을 일으킵니다. 이 병은 진행성 질병으로 결국에는 성격변화, 격분(激忿), 불면, 지남력장애(disorietation), 혼미, 강직, 과거에 획득한 기술의 상실, 치매,전반적인 신경계 퇴행을 보입니다.

 

지남력장애(disorietation) -자신이 있는 시간과 공간 등 주변환경에 대해 인지하는 능력에 문제가 생긴 것입니다. 본인이 현재 어디에 있는지, 아침인지 저녁인지를 모를 수 있고, 예전에 알고 지냈던 가족이나주변사람들을 못 알아볼 수 있습니다.

 

뇌의 시각 중추에 영향을 미치거나 시신경을 위축시켜 시력을 잃어버릴 수 있습니다. 질병의 후반기에는 근육강직, 고체온, 호흡과 심박동 그리고 혈압에 이상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신체 조절기능의 상실은 뇌하수체에까지 질병이 침범했음을 말해 줍니다. 심한 폐렴, 혼수 등의 합병증으로 발병 1∼3년 사이에 많이 사망하지만 더 오랜기간 생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진단

증상이 나타나고, 혈액 내 홍역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수치가정상 범위를 넘게 되면 아급성경화성범뇌염으로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환자의 과거력을 조사해 보면대부분 홍역을 앓았던 경험이 있습니다. 신체 검진 시 눈 신경과 각막이 손상된 것을 발견할 수 있고, 운동 조화 능력 감소, 근육 경련이 나타납니다.

 

뇌전도(EEG)는 뇌의 전기적인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환자들의 뇌파에서 돌발-억제(Burst-Suppression)현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아급성경화성범뇌염 환자들에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뇌파입니다.

 

돌발-억제 현상(Burst-Suppression pattern) - 뇌파에서 느리고 날카로우며 급격한 상승을 보이는 고전압 돌발파와 억압된 파장이 교차되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으로대뇌피질 활동에 이상이 있을 때 나타납니다.

 

 

최근에는 뇌 자기공명영상(Brain MRI)과 컴퓨터단층촬영(CT)을 통해 뇌의 구조변화를 자세하게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비정상적인 이미지들과 임상 경과에 대한 관련성이 완벽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뇌척수액에서 면역글로불린(Gammaglobulin)과 홍역 항체 수치가 상승해 있습니다.

치료

현재까지 특별한 치료 방법은 없습니다. 예전에는 경련을 조절하기위해 항경련제를 투여하고, 튜브로 영양을 공급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의학 문헌에 이노신프라노벡스(Inosine pranobex) 치료 이후 환자들의 질병이안정화됐으며, 증상이 진전되는 속도가 느려진다고 보고됐으나 대조연구는 아니었습니다.

 

이 약은 미국 식품 약국(FDA)으로부터 아급성경화성범뇌염의치료제로 1988년에 승인됐습니다.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대증요법을 시도할 수 있고 각종 부작용과 합병증을 조절하고 완화하기 위해 지지요법(supportive care)을시도할 수 있습니다.

    코메디닷컴 관리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