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제린-소타스병

정의

어린 연령에서 발병하는 탈수초성 운동감각신경병증으로 주로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하지만 상염색체 열성으로유전하기도 합니다. 신경증상의 모습은 매우 다양해 어린 나이에 휠체어 생활을 시작할 수도 있으며, 수명의 단축을 가져오지는 않지만 일상생활에서 심한 장애를 겪을 수 있습니다.

 

데제린-소타스병은 1886년파리의 샤르코(Charcot)와 마리(Marie), 런던의투스(Tooth)가 진행성회음부근육위축을 보이는 가족적증후군으로 처음 기술했습니다. Charcot-Marie-Tooth Disease(CMT)라고도 한다. 189년에는다른 개념으로 논문에 기재되었으며, 저자는 정상 부모에게서 태어난 한 형제와 자매에게서 나타나는 비대신경에 대해 기술했습니다.

 

이 논문에서 자매는 영아 때부터 비대 신경증상이 나타났으며, 형제는후측만증을 치료하기 위해 병원에 내원한 14세에 처음 증상이 나타났었으나, 더 이른 나이에 발병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했습니다. 이후 다양한임상 증상과 유전 방식에 대한 수많은 보고가 발표되었습니다.

 

1950대 후반, 신경전도검사및 신경 생검에 의해 새로운 영역이 확대되었으며, 1975년 딕(Dyck)은신경전도의 변화와 생검 소견으로 유전성 운동 감각 신경병증(hereditory motor and sensoryneuropathies, HMSNs)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딕은 가벼운 임상증상, 신경속도 지연을 보이는 HMSN의 변형 형태를 HMSN 1형/CMT1로 구분했으며,정상 혹은 중간정도의 신경 탈수초화, 신경속도 지연을 보이는 병을 HMSN 2형/CMT2로 분류했습니다.

 

HMSN1과 2 모두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나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경우도 관찰되었습니다. 또한 세 번째로 HMSN 3형이나 데제린-소타스(Dejerine-Sottas)병을정의했는데, 이 병은 심한 탈수초성 신경병증을 보이고, 영아기때부터 운동신경의 이상을 보이며, 매우 느린 신경전도와 뇌척수액에서의 단백성분 증가가 있는 경우로 정했습니다.

 

진행속도는 매우 빠르고 보행장애는 어린 나이에서부터 시작되며, 상염색체우성 유전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형적인 양파(onion bulbs) 양상과말초신경의 저수초화(hypomyelination)가 병리학적 지표가 됩니다. 그러나 HMSN 3형이나 데제린-소타스병에대한 이러한 분류에 반하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베스터베르크(Wester Berg)는 HMSN 3형은 HMSN 1형의 단순한 중증 형태일 뿐이라는 의견을제시했으며, 1994년 하브레일스-페스턴(Gabreels-Festen)은 HMSN 3형은 형태적 이질성이 있음을주장했습니다. 1997년 유스턴(Joosten) 등은 데제린-소타스병의 다른 형태를 보고했는데, 특징적인 병리소견(onion bulbs and congenital hypomyelination/amyelination)이 많은부분적으로 몇 겹의 말이집(folded myelin sheaths, FFM)을 보이는 사례였습니다.

원인

Roa et al(1993) : 17p11염색체의 PMP22 유전자의 돌연변이

Hayasaka et al(1993) :1q22염색체의 MPZ 유전자의 돌연변이

Boerkoel et al(2001) : 19q13.1~q13.2의연관 

Inoasescu et al(1996) :8q23~24의 미세분리, PMP22와 MPZ의 연관

증상

안더만(Andermann) 등은 안구진탕, 근육위축, 신경감각의 변화를 보고했고, Lsaacs은 추운 날씨와 함께 다리 마비를 보이는 가족들을 보고했으며, 또감각변화, 얼굴 신경 및 척추 신경으로의 침범, 척추 신경절의비대, 척수액 내의 단백질 상승을 보고한 사례도 있습니다. 베드포드(Bedford) 등은 가족력, 다리 약화 및 팔다리의 변형으로부터증상 시작, 병리학적인 진단으로 양파의 형성을 설명했습니다.

 

과거 데제린(Dejerine)과 소타스(Sottas, 1893)는 영아기 때의 증상 발현, 내반족(안쪽들린휜발증, clubfoot), 척주만곡증, 전반적인 근력약화, 근육위축, 운동신경의전기전달 속도 감소, 반사의 소실, 팔다리의 현저한 감각소실, 팔운동의 부조화, 빛에 대한 유두반사작용 저하, 안구진탕, 40대의 이른 사망, 말초신경의비대, 신경섬유의 미엘린 함유저하를 특징으로 설명했고, 토머스(Thomas) 등은 심각한 감각소실이 간혹 발의 만성 궤양과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진단

발모양 및 손모양의 변형 등 특징적인 임상 양상과 신경전도 검사에서 신경섬유 및 수초단백질에 손상이 있음을확인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신경조직 검사로 손상여부를 확인하거나 혈액검사에서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확인해 Charcot-Marie-Tooth Disease(CMT)를 확진 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이 병을 일으키는 유전자의 돌연변이로는 20가지 이상이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우선 혈액검사를 통한 유전자검사를 하고 알려진 유전자 돌연변이를 발견하지 못할때에는 신경조직을 검사해 이 병을 확진 할 수 있습니다.

치료

환자를 완치시킬 수 있는 방법은 아직은 없지만 유전자 이상이 발견될 때 대물림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있습니다. 이 병을 치료하기 위해 유전자 치료, 신경손상을중단시킬 수 있는 약물의 개발, 유전자 발현량 조절 약제 등 전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입니다.

 

유전자 발현량 조절 약제를 복용한 쥐의 실험에서 증상의 뚜렷한 호전 및 신경섬유가 재생되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그 밖에 근육을 강화시키는 물리치료와 적당한 활동들을 추천하며 보조기나 특수 제작한 신발을 착용하면 생활의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발 모양의 변형이 아주 심할 때는 수술을 하기도 합니다. 면역억제 치료가 긍정적인 반응을 가져왔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ㆍ물리치료 : 근력강화 및 지구력 향상

ㆍ보조기 : 발 보조기와 특수 신발

ㆍ손 기능 보조 : 깁스, 특별한운동, 보조기구

ㆍ발 수술

ㆍ산전 진단 및 유전자의 대물림 중지 가능 : PGD(preimplantationgenetic diagnosis)

ㆍ유전자 치료(Gene therapy)

ㆍ신경 손상을 방지하는 약물 사용 : neurotrophin-3,cliary neurotrophic factor, glial-derived growth neurotrophic factor

 

Progesterone receptor antagonist reducedoverexpression of PMP22 gene : CMT의 원인 중 PMP-22 유전자의과다한 활동에 기인한 부분이 있을 때는 이러한 과다한 활동을 조절하는 약물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코메디닷컴 관리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