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전도검사
정의
침을 근육에 주사해 근육의 정상 생리 상태나 병적 상태를 진단하는데 사용하는 검사법입니다. 근육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전기적인 활동을 기록하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근육병의 진단에 가장 도움이 되는 검사입니다.
그러나 근육섬유들은 근육병뿐만 아니라 근육과 연결돼 있는 말초신경의 손상에 의해서도 이차적인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말초신경에 의한 질환을 찾아내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침 근전도 검사는 근육에 침을 삽입해 발생하는 삽입전위와 자발전위라는 것을 관찰하고, 다시 최소한 근육을 수축시켜 유발되는 운동단위전위와 중간 정도의 근육수축을 해 보는 방법, 그리고 최대한의 근육을 수축시켜 나타나는 간섭현상이라는 전위를 봅니다.
근전도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ㆍ팔 저린 증상이나 근력 약화가 오면서 목통증이 있는 경우
ㆍ다리 저린 증상이나 근력 약화가 있으면서 요통이 동반될 때
ㆍ손 저림 증상
ㆍ당뇨환자에서 팔다리의 저림 증상이 있는 경우
ㆍ팔, 다리에 힘이 없고 근육이 마르는 현상이 있을 때
ㆍ이유 없이 사지의 근력이 약화되는 경우
ㆍ신경근 접합부 질환
ㆍ안면신경마비
ㆍ기타 의사가 필요하다고 권장하는 경우
설명
개요)
근전도 검사는 침을 근육에 주사하여 근육의 정상 생리 상태나 병적 상태를 진단하는데 사용하는 검사법입니다. 근육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전기적인 활동을 기록하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근육병의 진단에 가장 도움이 되는 검사입니다.
그러나, 근육섬유들은 근육병뿐만 아니라 근육과 연결되어 있는말초신경의 손상에 의해서도 근육에 이차적인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말초신경에 의한 질환을 찾아내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침근전도 검사는 근육에 침을 삽입하여 삽입하는 순간 발생하는 삽입전위와 자발전위라는 것을 관찰하고, 다시 최소한 근육을 수축시켜 유발되는 운동단위전위와 중간정도의 근육수축을 하여 보는 방법, 그리고 최대한의 근육을 수축시켜 나타나는 간섭현상이라는 전위를 봅니다.
근전도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팔 저린 증상이나 근력 약화가 되면서 목통증이 있는 경우
•다리 저린 증상이나 근력 약화가 있으면서 요통이 동반되는 경우
•손 저림 증상
•당뇨환자에서 팔다리의 저림 증상이 있는 경우
•팔, 다리에 힘이 없고 근육이 마르는 현상이 있을 때
•이유 없이 사지의 근력이 약화되는 경우
•신경근 접합부 질환
•안면신경마비
•기타 의사가 필요하다고 권장하는 경우
검사 전후 준비사항 및 주의사항)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환자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30분에서 1시간 정도 필요하며, 대부분 예약제로 시행하게 됩니다. 검사를 받기 전에 기초적인 병력청취와 이학적 검사를 시행합니다.
-검사시 준비사항 : 금식이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피부에 직접전기 자극을 주고 침삽입 검사를 하기 때문에 로션이나 크림을 바르지 않아야 합니다. 혈전용해제 등 출혈을일으킬 만한 약물을 복용 중이거나 출혈성향이 있는 혈우병이 있는 경우, 그리고 전기 자극에 민감한 심장박동기를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검사 전에 알려 주어야 합니다.
침근전도 검사 시에는 침 삽입을 하기 때문에 삽입 부위에 통증이나 부종,감염이나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검사 후 출혈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