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정지

정의

심장정지란 심장박동이 정지해서 심장이 혈액을 방출할 수 없게된 상태를 말한다. 모든 심근이 수축하지 않고 심장이 완전히 정지된 상태의 ‘심장정지’와 심근이 불규칙, 무질서한 수축을 하지만, 박동으로서 혈액은 말초로 방출할 수 없는 상태의 ‘심실잔떨림’이 있다. 임상적으로는 뇌가 비가역적인 변화를 받는 순환기능상실을 심장정지라고 부르고 있다.

원인

심실 세동
심정지는 대부분은 ‘심실 세동’이라는 부정맥이 원인이다. 심실 세동은 심장에서 혈액의 펌프질을 담당하는 커다란 방인 심실이 정상적으로 박동하지 않고 너무 빠르고 불규칙하게 떨리는 듯이 박동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심장이 신체로 보내기 위해 펌프질 하는 혈액의 양이 거의 없거나 매우 적어진다. 이러한 부정맥을 수 분 이내에 치료하지 못 하면 사망을 초래하게 된다.

심정지를 일으키는 다른 원인으로는 심장에서 박동을 위해 만들어지는 전기 신호의 속도가 매우 느리거나 심장의 근육이 전기 신호에 반응하지 않는 상태가 있다. 

관상동맥 질환
관상동맥 질환은 심장 근육들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관상동맥)이 딱딱해지거나 좁아져서 심장 근육으로 혈액을 적게 공급할 때 발생한다. 플라그라 부르는 찌꺼기들이 혈관 벽에 쌓이면 동맥이 딱딱해지고 좁아진다. 플라그의 크기가 커지면 관상동맥의 내부는 더욱 좁아지고 그 부위를 통과하는 혈액은 줄어든다. 그 결과 심장 근육은 필요한 만큼의 혈액과 산소를 얻지 못하게 된다. 심장 근육으로 혈액 공급이 줄어들거나 중지되면 심장 발작이 발생한다. 심장 발작이 발생하면 심장 조직의 일부가 죽어서 반흔 조직(조직이 죽어서 남긴 상처 흔적)으로 변한다. 이것은 심장의 전기 신호 체계에 손상을 주고 심한 부정맥과 심장 마비 발생의 위험을 높인다.

신체적 스트레스
신체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심장의 전기 신호 체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신체적 스트레스들의 예를 보면, 심한 혈액 소실, 심한 산소 부족, 혈액 내 칼륨이나 마그네슘 양이 크게 부족, 강도가 높은 운동(강도 높은 운동 중에는 아드레날린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어 기존에 심장 문제를 가진 사람들에서 심장마비를 유발시킬 수 있다.)

유전 질환들
부정맥은 가족적인 특성을 가질 때도 있다. 이러한 경향은 유전될 수 있다.
즉 부모에게서 자녀에게로 전해질 수 있다.

증상

심정지가 일어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 졸도한다.
* 의식을 잃는다.
* 입술과 손가락, 발가락이 파랗게 변한다.
이런 증상이 나타난다는 것은 심장박동과 호흡이 멈췄다는 것을 의미한다.

진단

심장정지는 사전 경고 없이 발생하며 즉시 처치를 해야만 한다. 심정지가 일어나고 있을 때 의학적 검사를 실시하여 진단할 여유는 거의 없다. 그 대신 심정지는 발생 후에 환자가 갑자기 쓰러질만한 다른 원인을 모두 배제한 다음에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치료

심정지가 일어난 환자를 발견하면 즉시 의료인에게 도움을 청해야 하며, 동시에 뇌혈류를 유지하기 위해 심폐소생술을 실시해야 한다. 심폐소생술을 지속하면서, 동시에 심정지의 원인이 심실 세동인지 수축 부전인지를 알아내기 위해 심전도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적절하게 치료해야 한다. 심실 세동은 전기적 제세동기라는 기계로 전기충격을 심장에 가함으로써 정상 심박동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수축 부전은 에피네프린을 큰 혈관이나 심장에 직접 주사하면 치료되기도 한다.

일단 심폐소생술로 심박동이 회복되면 중환자실에서 환자의 상태를 세심히 체크하면서 심근경색이 있었는지, 만약 있었다면 심정지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파악한다. 심근경색이 아닌 다른 원인 때문에 심실 세동이 발생했다면 항부정맥제를 장기간 복용하거나 외과적 수술로 소형 제세동기를 몸속에 설치한다.

만약 심폐소생술이 적절히 이루어졌다면 원인질환이 무엇이냐에 따라 생존 가능성이 결정된다. 심장마비의 합병증으로 심실 세동이 나타난 경우에는 심율동 전환에 의해 심장박동을 규칙적으로 전환시키면 완전히 회복될 수도 있다. 수축 부전에 의해 심정지가 발생한 경우에는 얼마나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처치했는지, 또 정상적인 심박동으로 전환되었는지에 따라 예후가 달라진다.

    코메디닷컴 관리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